소개글
"프랙탈 자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프랙탈의 정의와 특성
1.2. 프랙탈 연구의 필요성
2. 프랙탈과 자연
2.1. 우주의 생성과 프랙탈
2.2. 자연 속의 프랙탈 구조
2.2.1. 나무와 잎
2.2.2. 해안선과 산맥
2.2.3. 혈관과 신경망
3. 프랙탈과 인간 생활
3.1. 몸 속의 프랙탈
3.1.1. 혈관
3.1.2. 뇌의 주름
3.2. 생활 속의 프랙탈
3.2.1. 주기의 그래프
3.2.2. 동양 사상의 프랙탈
3.2.3. 붉은 악마
4. 결론
4.1. 프랙탈을 통한 우주와 자연의 이해
4.2. 프랙탈의 실용적 활용 가능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프랙탈의 정의와 특성
프랙탈은 작은 구조가 전체와 비슷한 형태로 끝없이 되풀이 되는 구조이다. 프랙탈은 비규칙적, 비대칭적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규칙성/비규칙성, 단순성/복잡성, 다양성/일관성들의 대조적인 특성들이 상호보완적으로 공존한다. 또한 프랙탈은 자기유사성 혹은 자기 불변성을 가진다.
우주는 곧 자연이고 자연은 곧 인간이다. 빅뱅으로 탄생된 우주에서 볼 수 있는 프랙탈은 자연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는 우주의 일부이며, 프랙탈을 통해 우주, 자연, 그리고 우리 자신을 이해할 수 있다. 우주 속의 프랙탈을 관찰함으로써 우리는 우리 생활을 좀 더 넓고 신비롭게 생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우리가 우주와 일체가 된다는 인식을 통해 우리의 자존감과 세계의 존엄성을 고양시킬 수 있다.
1.2. 프랙탈 연구의 필요성
세상은 프랙탈의 구조로 되어있으므로, 우주는 곧 자연이고 자연은 곧 인간이다. 빅뱅으로 탄생된 우주에서 볼 수 있는 프랙탈은 자연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는 우주에 살고 있으며 우주의 크기나 나이에 비해서 미세한 먼지에 불과하다. 그러나 프랙탈로 본다면 우주는 곧 자연이며 자연은 곧 우리이고 우리는 곧 우주이다. 따라서 우주 속의 프랙탈을 관찰하는 것은 우리를 관찰하는 것이며, 우리를 알아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우주 속의 먼지가 아닌, 우주 그 자체가 되는 것이다. 더 광활한 우주를 통해 우리를 알아감으로써 우리는 우리 생활을 좀 더 넓고, 신비롭게 생각할 수 있게 된다. 기정 사실화 되어 가고 있는 빅뱅 조사를 통해 우주탄생의 신비를 벗기고, 그 속에서 우리와 밀접한 프랙탈을 발견하며, 또한 자연 속의 프랙탈을 발견함으로써 우리는 우주와 좀 더 가까워지고 우리 생활과 자연 속에서 우주를 발견하여 우주와 좀 더 가까이 느낄 수 있게 되며, 자연과 우리를 좀 더 크게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의 자존감과 세계의 존엄성을 고양시킬 수 있다.
2. 프랙탈과 자연
2.1. 우주의 생성과 프랙탈
우주는 대폭발인 빅뱅으로 탄생하였다. 빅뱅은 우주 탄생의 과정을 밝혀낸 이론이며, 우주가 생성될 때 천천히 폭팔하여 천천히 일정한 속도로 팽창한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주배경복사라는 흔적을 남기게 되는데, 이는 마치 우리가 TV를 볼 때 전파 이상으로 나오는 지직거리는 화면과 같이 60억 광년을 걸쳐 날아온 전파를 보는 것과 같다. 이처럼 복잡하고 멀게 느껴지는 우주의 탄생 속에도 사실 우리의 생활이 숨어있다.
빅뱅으로 탄생한 우주는 은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은하 속에는 또 다른 우주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 은하 안에는 태양계처럼 많은 행성이 존재하며, 이는 전체적으로 봤을 때 프랙탈 구조를 보인다. 따라서 우주는 은하와 은하, 행성과 행성, 행성 안의 자연과 유사한 구조를 보이는 것이다. 이는 밤하늘의 별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는데, 별의 수는 거의 무한대에 가깝지만 밤하늘은 매우 어둡다. 이는 별의 분포가 프랙탈 구조이기 때문이다. 별군은 여기저기 산재되어 있고, 그 별군을 확대해 보면 그와 유사한 구조로 별군이 나타...
참고 자료
프랙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프랙털 (naver.com)
프랙탈 (naver.com)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2013년 5월호 (통권 제329호), 2013.5 ,112-125 (14pages)
과학과 기술=The science&technology/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사이언스 라운지-(1)우주탄생시나리오
http://society.kisti.re.kr/journal/kj_view.jsp?kj=GGDCBE&soc=kofst&ndsl=y
프랙탈 우주론 정윤표 한국정신과학학회 제 2회 1995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1995.4, 164-173 (10pages)
자연과학 : 혼돈과 질서의 원리 - 프랙탈 이론 박진희 사회평론, <월간 사회평론> 92권2호 (1992), pp.286-290
프랙탈 기법에 의한 지형특성의 분석 권기욱 ( Kee Wook Kwon ) , 지형규 ( Hyung Kyu Jee ) , 이종달 ( Jong Dal Lee ) 한국지역지리학회,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권6호 (2005), pp.530-543
연구논문 : 기온 일교차의 프랙탈 성질 강용균 ( Yong Q . Kang ) 한국기상학회, 31권3호 (1995), pp.243-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