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GMO의 정의와 개발배경
GMO란 생명공학기술인 유전자재조합기술을 이용하여 개발된 작물을 말한다. 어떤 생물의 유전자 중 유용한 유전자만을 취하여 다른 생물체에 삽입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GMO는 잠재적 혜택들도 많지만, 유전자변형기술의 이용에 따른 자연 생태계나 인체 및 동물에게 미치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우려가 있어 아직 여러 국가들에서 찬반논쟁 중이다.
1980년대 미생물분야에서 유전자재조합 기술의 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의약품이나 첨가물이 손쉽게 만들어지기 시작하였고, 농작물의 품종 개발과 같은 농업분야에서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농업 분야에서는 기존의 육종기술에 의한 품종 개발이나 농약, 화학비료에 의한 농작물의 생산량 증가가 한계에 이르고 잔류 및 오염문제 등으로 안전성이나 환경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이에 새로운 품종 개량 기술로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 이용되어 유전자 재조합 식품이 개발되었다.
2. GMO의 장단점 분석
2.1. GMO의 장점
GMO 식품은 해충, 기상이변에 강하다. 따라서 농약 등을 쓰지 않아 오히려 환경보호가 되며 농민들의 재산 손해가 줄어들고, 농업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생산량이 많아 식량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실제 필리핀의 경우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쌀 수출이 전 세계 순위 내에 들 정도였으나, 현재 쌀 가격이 2배로 폭등해 많은 서민들이 힘들어하고 있는데, GMO를 생산하면 이러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다. GMO는 어떤 환경에서도 자랄 수 있다. 바나나 같은 작물은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유전자변형을 통해 어느 곳에서나 재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GMO는 식품 신선도가 높아 식중독의 위험이 준다. 유기농 식품이라 해도 키우면서 여러 세균성 병균이 묻기 때문에 GMO가 훨씬 더 청결하고 안전하다.
2.2. GMO의 단점
유전자 조작된 작물에는 해충 및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저항성 유전자가 쉽게 생태계 속으로 전이되어 결과적으로 슈퍼해충과 슈퍼잡초가 출현하게 되어 방제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형질이 다른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