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동 내분비계 구조와 기능
1.1. 아동의 소화기계 구조와 기능
1.1.1. 위장관계의 구조
구강은 음식물과 수분을 섭취하는 통로이며, 미각을 느끼는 수용체들이 있다. 구강의 상부는 연구개와 경구개로 이루어져 있고 촉부는 뺨의 안쪽이 된다. 저부는 혈, 근육, 3쌍의 침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이하선이 가장 크다.
인두는 길이가 약 12cm의 근육성인 관으로서 두개골 바닥에서부터 윤상연골의 높이인 제6경추골의 높이까지 걸쳐져 있다. 구강의 뒷부분은 인두에 연결되는데, 이곳은 소화기계와 호흡기계가 공통으로 포함되는 통로이다.
식도는 음식물과 수분이 인두를 거쳐 위로 이동하는 통로로 기도 뒤에 있으며 횡격막을 거쳐 위에 연결된다. 상부는 주로 횡문근, 하부는 평활근으로 되어있다.
위는 근육으로 이루어진 주머니로 좌상복부에 위치하며 저부, 체부, 유문부로 나누어진다. 위점막은 미주신경의 영향을 받아 위산을 분비한다. 위 근육은 운동성이 상당히 강하며 유미즙을 방출하여 소화를 돕는다.
소장은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장내의 효소는 음식물을 영양소로 분해한다. 소장은 융모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체표면적이 넓어서 음식물 흡수에 유용하다. 십이지장의 점막은 십이지장 벽을 유미즙과 소화효소로부터 보호하는 호르몬과 점액을 분비한다.
대장은 소화간의 최종 부위로서 식물성 섬유나 기타 일부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것 외에 주로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을 만드는 곳으로 맹장, 결장, 직장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대장벽은 소장처럼 점막, 점막하층, 근층, 장막의 4층으로 나뉘어져 있다.
1.1.2. 위장관계의 기능
연하작용은 구강에서 부드럽게 된 음식물이 인두로부터 식도를 거쳐 위에 들어가는 과정이다. 연하과정은 구강단계, 인두단계, 식도단계로 나뉜다. 구강단계는 식괴를 구강에서 인두로 내려 보내는 수의적 과정이다. 인두단계는 식괴가 인두에서 식도 입구까지 운반되는 불수의 운동이다. 혀의 운반작용에 의해 식괴가 인두에 도달 시 후두가 들어 올려 후두개가 후두를 닫고 성문이 폐쇄되어 호흡이 잠시 정지되고 식도상단 근육이 이완되어 식괴가 식도내로 들어간다. 식괴가 식도를 통과하여 위까지 운반되는 과정을 식도단계라 한다.
위장관의 주요 구조들은 점액, 호르몬, 소화액을 분비한다. 이러한 분비물들은 위장관 점막을 보호하고 소화와 흡수를 돕는다. 구강의 타액은 음식물을 삼키기 쉽도록 부드럽게 하는 것 이외에도 음식물을 녹이는 역할을 한다. 식도분비물은 대부분 점액이며, 음식물이 잘 지나가도록 식도를 매끄럽게 해주고 음식물이 지나가면서 상처를 내지 않도록 식도벽을 보호해 준다. 위는 하루 3리터 정도의 소화액을 생산하는데, 염산, 점액, 소화효소의 혼합물이다. 염산은 가스트린에 의해 분비가 촉진되며, 점액질의 분비물은 위벽을 덮어 소화효소나 염산에 의한 자가소화 작용을 억제한다. 내적인자는 벽세포에서 분비되며 비타민 B12와 결합하여 소장으로 전달된다.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는 secretin, pancreozymin, cholecystokinin은 담즙과 췌장액의 효소 분비를 촉진한다. 소장벽은 자극, 호르몬, 미주신경의 자극에 의해 점액, 소화액, 호르몬 등을 하루 2리터 정도 분비한다. 대장에서는 주로 점액이 분비되어 대장벽을 보호하며 대변의 응집성을 부여한다.
위장관은 불수의적으로 움직인다. 음식물이 식도로 연하되면 연동운동에 의해 식도 하단의 괄약근으로 이동하고 음식물 덩어리는 다시 위로 들어간다. 위가 부르면 유문에서 유미즙이 십이지장으로 흘러들어가며 소장벽은 규칙적인 수축을 통해 유미즙을 대장으로 밀어낸다. 대장의 수축작용을 팽기현상이라 한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흡수가 증가된다.
1.2. 아동의 면역계 구조와 기능
1.2.1. 면역계의 기능
면역계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자기조직과 이물질을 구분하여 이물질을 포착하고 파괴하는 반응을 활성화한다. 자기 조직에 대한 반응을 억제한다. 정보를 기억하고 저장한다. 편도와 아데노이드는 호흡기로 침투하는 이물질과 항원을 여과하여 제거한다. 림프절은 이물질과 항원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T림프구와 접촉하도록 한다. 흉선은 바이러스, 기생충, 진균, 외부조직, 기타 항원에 반응하는 T림프구로 성숙되는 세포를 함유하고 있으며 세포성 면역을 조절한다. 비장은 이물질과 항원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T림프구와 접촉하도록 한다. Peyer 집선과 충수돌기는 위장관계로 침투하는 이물질과 항원을 여과하여 제거한다. 골수는 세균, 바이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