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기민요란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
1.2. 민요란 무엇인가
2. 지역별 대표 민요의 음계와 선법
2.1. 경기민요
2.2. 남도민요
2.3. 서도민요
2.4. 동부민요
2.5. 제주도민요
3. 민요 음계와 여러 국악곡 음계의 관계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
민요는 연구가 필요한 중요한 장르이다. 민요에는 개인의 음악이 아닌 민중의 음악으로 당시 시대상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국악곡에도 민요 음계가 바탕이 되고 있어 민요 연구는 역사적, 음악적, 문학적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지방별 민요의 음악적 특성을 정리하고 국악곡에 쓰인 음계와 민요 음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민요란 무엇인가
민요란 민중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온 전통적이고 소박한 노래이다.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세대를 거쳐 저절로 익혀 부르는 음악으로, 노동이나 의식을 치르면서 발달하여 메기고 받는 형식이 많다. 한국의 민요는 창자에 따라 통속민요와 토속민요(향토민요)로, 지역(토리)에 따라 경기, 남도, 서도, 동부, 제주로 분류할 수 있다. 통속민요는 전문음악가나 명창들이 불렀던 노래로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졌고, 토속민요는 특정 지역에서만 전승된 노래로 지역적 특징이 강하다. 이처럼 민요는 한 나라의 민중 생활과 정서를 반영한 전통음악이다. []
2. 지역별 대표 민요의 음계와 선법
2.1. 경기민요
경기민요는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불린 민요이다. 맑고 깨끗하며 경쾌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5음음계 평조로 장3도 진행이 많은 편이다. 솔, 라, 도, 레, 미 다섯 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잘게 떠는 요성이 특징이다. 굿거리, 세마치 장단 등을 사용하여 빠른 한배로 노래한다. 대표적인 곡으로는 창부타령, 노랫가락, 경복궁타령, 태평가, 청춘가, 한강수 타령 등이 있다.
2.2. 남도민요
남도민요는 전라,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불렸다. 남도민요는 극적이...
참고 자료
이보형, “민요연구의 의의”, 비교민속학회, 2001.
임동권, “민요 연구” 『나라사랑』, 외솔회, 1982.
조윤정,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전통민요 분석연구” 고등학교 8종 교과서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립국악원 [편], 『민요 : 이렇게 가르치면 제맛이 나요』 , 국립국악원, 1997.
송방송, 『한겨레음악대사전』, 보고사, 2012.
한국학중악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991.
국립국악원, 교육연구 국악이론 / 음계와 선법
http://www.gugak.go.kr/site/homepage/menu/viewMenu?menuid=001003001001001004001
헤드라인제주, 2024.04.12., 원성심 기자, “제주아트센터, 소리꾼 이희문 '오방신과 스팽글' 공연”
https://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1068
Artists welfare news, 2019, 12, 이희문 경기민요 이수자
http://news.kawf.kr/?searchVol=37&subPage=02&searchCate=04&page=&idx=567
매일경제TV, 2024.08.28., (기자 확인 불가) “[이야기를 담다] 소리꾼 이희문, '민요를 홍대클럽으로' 선 넘는 국악인”
https://mbnmoney.mbn.co.kr/news/view?news_no=MM1005326617
길종관, (2010). 국악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전통민요 극화학습 활용 방안 연구, 추계에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238472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국악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6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