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세계 간호사
1.1. 영국의 간호
영국은 현대 간호의 모체로 볼 수 있다. 1601년 엘리자베스 1세 때 제정된 구빈법이 1834년에 개정되어 오늘날 사회보장제도의 시초가 되었다. 또한 성 토머스병원 내에 나이팅게일간호학교가 설립되어 오늘날 직업적인 전문 간호사로서의 전환점이 되었다.
영국의 간호는 입원환자의 임상간호에 총력을 기울였고, 교육에 있어서도 강의보다 병원 안에서의 실지교육을 중요시하였다. 베들레헴병원은 1247년 당시 런던시장이었던 그레고리가 세운 곳으로,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완비된 정신병원을 겸하였다.
1887년 펜위크가 영국간호협회를 조직하였고, 1899년에 국제간호협의회(ICN)를 창립하였다. 이들은 간호사 면허제도를 주장하며 간호를 하나의 독자적인 직업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자 하였다.
1.2. 미국의 간호
초창기 미국의 간호는 실용주의적 사고로 인해 실용주의적 학문들이 연구되고 발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초창기 병원들은 매우 비위생적이었고, 해충도 많아 전염병이 자주 유행하였다.
독립전쟁 이후 의사인 남성들이 임상에서 독점적 위치를 장악하게 되었고, 간호사인 여성들은 부수적인 존재로 전락하였다. 그러나 제1, 2차 세계대전으로 의학발전이 가속화되고, 간호사 수요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였다.
1873년에 세 개의 간호학교가 나이팅게일의 간호교육 원칙을 중시하면서 설립되었다. 이들 간호학교는 병원에 값싼 노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교육기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 설립되었다. 또한 간호학교는 비록 병원과 밀접한 연계를 갖는다 하더라도 행정적으로 독립되어야 하며, 간호사가 학교 장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벨뷰간호학교, 코네티컷간호학교, 보스턴간호학교 등 우수한 간호학교들이 설립되었다. 그리고 1912년에는 미국간호협회가 창설되었고, 1896년에는 미국과 캐나다의 간호연맹도 창설되었다.
이러한 간호교육과 단체의 발전으로 구드리치, 왈드, 너팅 등의 위대한 간호지도자들이 등장하였다. 구드리치는 '위대한 헨리가의 삼총사'의 일원으로 불리며, 왈드는 미국 공중위생간호의 개척자로 활약하였다. 너팅은 간호사 최초로 교수가 되었고, 마호니는 최초의 흑인 간호사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생어, 롭, 스튜어트 딕스, 바턴, 그레터 등 다수의 저명한 간호지도자들이 배출되었다.
1.3. 독일의 간호
카이세르스베르트 간호사 양성소는 질적으로 우수한 간호사를 배출하는 곳으로, 후에 나이팅게일이 간호훈련을 받은 곳이다. 독일에는 모관제도가 존재했는데, 이는 간호계 발전을 저해한 요소이다. 모관제도에 따르면 졸업한 간호사들이 졸업 후에도 계속 이 제도와 연결되어 관련 기관에 남아서 일하며 제재를 받았고, 개인적인 취업선택의 자유가 인정되지 않아 간호사들은 과로와 궁핍, 정신적 압박에 시달렸다. 또한 의사가 학교 교장이 되어 독자적인 간호 발전이 저지되었다. 그러나 1907년에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