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초등학교 3학년 영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중요성
1.2. 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교과서 선정의 필요성
1.3. 연구의 목적
2.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 및 평가
2.1. 영어 교과서 분석 및 평가 방법
2.2.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서 분석 기준
2.3. 초등학교 3학년 영어 교과서 5종 분석
3. 연구 결과 및 논의
3.1. 초등학교 3학년 영어 교과서의 전반적 특징
3.2.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서 내용 분석
3.3. 교과서별 의사소통 능력 요소의 균형성 비교
4. 결론 및 제언
4.1. 연구 요약
4.2.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 선정을 위한 제언
4.3. 후속 연구 과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중요성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는 언어습득의 결정적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영어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린 나이에 영어에 노출되면 이후 영어 학습에 유리하며, 언어습득 능력이 뛰어난 초등학생들은 영어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영어교육은 영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동기 부여를 높여 장기적으로 영어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초등 영어교육은 의사소통 능력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미래 사회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이 된다. 따라서 초등학교 시기부터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2. 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교과서 선정의 필요성
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교과서 선정의 필요성이다. 교과서는 언어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영어 교육에서 교과서는 교실 내 활동의 중심이 된다. 교과서 선정은 교사, 학생, 교육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중요한 문제이다. 교과서 선정 과정에서 교과서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지원하는지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가장 적절한 교과서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과서 선정 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주요 기준으로 삼아야 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평가와 분석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학생들의 실제적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1.3. 연구의 목적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중요성은 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교과서 선정의 필요성에서 찾을 수 있다. 초등 영어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영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핵심 목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과서 선정 시에는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서 내용과 활동이 적절히 구성되어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효과적으로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2.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 및 평가
2.1. 영어 교과서 분석 및 평가 방법
교과서는 언어 수업과 학습 환경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해왔다. 교과서는 텍스트, 설명, 활동 등 다양한 유형의 입력을 교실에 제공할 수 있는 패키지이기 때문이다. 교사들에게 있어 교과서는 언어 교육 프로그램의 지도 역할을 하는 "로드맵"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처럼 교과서는 교실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자료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Swales(1980)와 Allwright(1981)는 단일 교과서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현상을 비판하였다. 왜냐하면 교과서는 예측할 수 없는 교실 상황과 학습자 요구의 다양성을 모두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교과서 평가 과정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교과서 평가는 언어 교사, 학습자, 교육 전문가 등 잠재적 사용자들이 자신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교과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교과서 평가 방식에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Tomlinson(2003)과 Littlejohn(1998)은 분석(analysis)과 평가(evaluation)를 구분하였다. 분석은 교재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과정이며, 평가는 특정 목적이나 맥락에 따라 가치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분석과 평가의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상적 개괄(impressionistic overview)은 교과서의 표지, 소개, 목차 등 외적 정보를 간략히 살펴보는 방법이다. 둘째, 체크리스트 방식(checklist method)은 특정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이다. 셋째, 심층 평가(in-depth evaluation)는 교과서의 특정 부분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처럼 교과서 평가는 다양한 방법론으로 이루어지며, 평가 주체와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단일 방법보다는 복합적 접근이 더 유의미한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2.2.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서 분석 기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교과서가 문법 능력, 사회언어적 능력, 담화 능력, 그리고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균형 있게 포함하여야 한다. 첫째, 문법 능력은 어휘, 발음, 문장 구조 등 언어의 형식적 측면에 대한 지식을 의미한다. 교과서는 알파벳, 단어, 문장 등 언어의 기본 단위에 대한 명시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사회언어적 능력은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언어 사용 능력을 의미한다. 교과서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을 제시하고 상황에 맞는 언어 표현을 연습할 수 있는 활동을 포함해야 한다. 셋째, 담화 능력은 담화의 구조와 규칙을 이해하여 상황에 맞게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교과서는 대화, 연설, 설명 등 다양한 유형의 담화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활동을 포함해야 한다. 넷째,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은...
참고 자료
Aguilar, M.J.C., 2007. Dealing with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In Soler, E.A. and Jordà, P.S. eds. Intercultural language use and language learning. Amsterdam: Springer. pp.59-78.
Allwright, R.L. 1981. What do we want teaching materials for?. ELT Journal, 36(1), pp.5-18.
Cahyono, B.Y. and Widiati, U. 2015. The teaching of EFL listening in the Indonesian context: The state of the art. Teflin Journal, 20(2), pp.194-211.
Canale, M. and Swain, M. 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1(1), pp.1-47.
Chang, B.M. 2009. Korea's English Education Policy Innovations to Lead the Nation into the Globalized World. Journal of Pan-Pacific Association of Applied Linguistics, 13(1), pp.83-97.
Cunningsworth, A. 1995. Choosing your coursebook. Oxford: Heinemann.
Ellis, R. 1997. The empirical evaluation of language teaching materials. ELT Journal, 51(1), pp.36-42.
Daud, B. and Salamah, U. 2016. Teaching phonics and phonemic awareness in English Beginning reading. English Education Journal, 7(3), pp.329-340.
Dörnyei, Z. and Thurrell, S. 1991. Strategic competence and how to teach it. ELT Journal, 45(1), pp.16-23.
Gholami, R., Noordin, N. and Rafik-Galea, S., 2017. A Thorough Scrutiny of ELT Textbook Evaluations: A Review I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and Literacy Studies, 5(3), pp.82-91.
Hutchinson, T. and Torres, E. 1994. The textbook as agent of change. ELT Journal, 48(4), pp.315-328.
Jones, C.D., Clark, S.K. and Reutzel, D.R., 2013. Enhancing alphabet knowledge instruction: Research implications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1(2), pp.81-89.
Kwon, S.K., Lee, M. and Shin, D., 2017. Educational assess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lights and shadows of high-stake exam-based education system.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24(1), pp.60-77.
Littlejohn, A. 1998. The analysis of language teaching materials: Inside the Trojan Horse. In Tomlinson, B. ed. 1998. Materials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90–216.
Tomlinson, B. 2001. Materials development. In R. Carter & D. Nunan. ed. The Cambridge guide to TESOL.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66–71.
McDonough, J. and Shaw, C. 1993. Materials and methods in ELT: A teacher’s guide. London: Blackwell.
McGrath, I. 2002. Materials Evaluation and Design for Language Teaching.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Mikio, S. 2008. Development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34(4), pp.383-396.
Ministry of Education. 2018. New Textbooks fo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Press release]. [Accessed 1 April 2018]. Available from: http://english.moe.go.kr
O'Neill, R. 1982. Why use textbooks?. ELT Journal, 36(2), pp.104-111.
Paquette, K.R. and Rieg, S.A. 2008. Using music to support the literacy development of young English language learn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6(3), pp.227-232.
Richards, J.C. 2006. Materials development and research—making the connection. RELC Journal, 37(1), pp.5-26.
Sarem, S.N., Hamidi, H. and Mahmoudie, R. 2013. A critical look at textbook evaluation: A case study of evaluating an ESP course-book: English for international tourism.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 of Applied and Basic Sciences, 4(2), pp.372-380.
Savignon, S.J. 1983. Communicative Competence: Theory and Classroom Practice. Boston: Addison-Wesley.
Savignon, S.J. 1991.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State of the art. TESOL Quarterly, 25(2), pp.261-278.
Sheldon, L.E. 1988. Evaluating ELT textbooks and materials. ELT Journal, 42(4), pp.237-246.
Swales, J.M. 1980. ESP: The textbook problem. The ESP Journal 1(1), pp.11–23.
Tomlinson, B. ed. 2003. Developing materials for language teaching. London: Continuum.
Tomlinson, B. 2012. Materials development for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Language Teaching, 45(2), pp.143-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