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APP 개요
1.1. APP 핵심기능
APP의 핵심기능은 크게 3가지이다. 첫째, 동영상 자체의 전체 자막 및 시간을 내포하여 새로운 자막에 대한 시간적인 위치[Hour:Min:Sec]를 만드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자막에 대한 시간적인 위치[Hour:Min:Sec]를 APP의 검색서치로 검색을 가능하게 하여, 자신이 필요한 정보의 시간적인 위치를 찾아내서 정보의 추적시간을 대폭 줄이는 것이다. 셋째, 청각장애인의 내포자막에 의한 검색 및 시각장애인의 대한 소리의 자막화가 된 동영상을 자신의 목소리를 통해, 유사 및 추적 검색이 가능하게 만드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APP은 긴 동영상에서도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사용자들도 쉽게 동영상 내용을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
1.2. APP 핵심목적
APP의 핵심목적은 동영상 이용자들이 긴 영상을 다 보기 싫어하는 점에 착안하여, 동영상 내부에서 검색과 추적이 가능한 기능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이 기능을 시청각장애인들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언급에 대한 자막 변환과 추적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공익적 목적도 달성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동영상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여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적인 정보 습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이 APP의 핵심 목적이라 할 수 있다.
1.3. APP 개발사유
과거에는 정보를 얻기 위해 주로 웹 기반 검색엔진을 활용했으나, 스마트폰 보급 확산과 동영상 공유 기술의 발달로 최근에는 사람들이 동영상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나스미디어의 조사 결과, 인터넷 이용자 10명 중 6명이 유튜브를 정보검색 채널로 활용한다고 답변했다. 이처럼 현대 사회에서 동영상은 중요한 정보 습득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이에 따라 동영상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기 위한 APP을 개발하고자 한다. 동영상 시청자의 1%만 사용자로 확보해도 큰 규모의 사용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APP의 개발 가치가 크다고 판단했다. 또한 시청각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기능을 포함하여 공적인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 지원금 신청 및 마케팅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이처럼 현대 사회의 정보 습득 행태 변화와 사용자 확보 가능성, 공익성 등을 고려하여 이 APP을 개발하고자 한다.
2. APP 실태조사
2.1. 서비스사용자 조사
현재 스마트폰 보급률이 한국 기준 94%로 대부분의 국민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약 48.7%의 인원이 스마트폰으로만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사용자의 약 50%가 YouTube를 이용 중이며, 앞으로 서비스사용자의 비율은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