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투석의 개요
1.1. 투석의 정의
투석은 확산, 삼투, 초여과라는 원리에 의해 수분과 용질이 반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환자 체내의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 등의 노폐물과 전해질을 제거하며, 환자 체내의 과다 수분을 제거한다. 혈액 투석 시에는 인공 콩팥기에 있는 투석막을, 복막 투석 시에는 배안을 둘러싼 복막을 반투막으로 이용한다.
1.2. 투석의 목적
투석의 목적은 혈액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등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고, 요독증상을 완화하며, 고혈압 조절과 빈혈 상태를 개선함으로써 사회적 재활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확산, 삼투, 초여과의 원리를 이용하여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투석에는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이 있다. 혈액투석은 체외에서 인공신장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정화하는 방법이며, 복막투석은 복강 내에 투석액을 주입하여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혈액투석에서는 환자의 혈관에 두 개의 바늘을 꽂아 체외순환을 하면서 투석기를 통해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한다. 혈액투석의 합병증으로는 저혈압, 근육경련, 투석불균형증후군 등이 있다. 혈액투석 환자의 간호에서는 식이요법, 투약, 동정맥루 관리 등의 자가간호 교육이 중요하다.
복막투석은 복강 내에 투석액을 주입하고 일정 시간 동안 저류한 뒤 배출하는 방식으로, 확산과 삼투의 원리로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한다. 복막투석의 합병증으로는 복막염, 카테터 관련 합병증 등이 있다. 복막투석 환자의 간호에서는 투석액 교환 방법, 청결한 소독 및 목욕법, 투석 적절도 관찰 등 자가관리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투석의 목적은 요독증상 완화,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 조절, 수분 제거와 고혈압 및 빈혈 개선을 통해 사회적 재활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은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있어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절한 투석 방법이 선택되며, 투석 환자의 자가간호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수적이다.
1.3. 투석의 적응증
사구체여과율이 약 15mL/min/1.73m2 이하일 때 투석을 고려한다. 그러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오심, 구토, 식욕부진, 피로감, 호흡곤란, 소양증, 골이영양증, 발육 부진 등의 유의한 요독증상이 있을 때 투석을 시행한다. 심낭염, 출혈, 운동성 신경증 및 의식장애가 있을 때도 사구체여과율이 높더라도 긴급 투석을 실시한다. 고칼륨 혈증, 심한 대사산증, 체액과다로 인한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등이 보존적 치료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투석을 고려한다. 과도한 약물이나 독소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도 투석이 필요하다. 수혈 부작용으로 콩팥 기능이 멈추거나, 급성 콩팥 기능을 영구적으로 대체해야 하는 경우, 말기 콩팥 기능 상실 환자의 손실된 콩팥 기능을 영구적으로 대체해야 하는 경우에도 투석이 적응된다.
2. 투석의 종류
2.1. 혈액투석
2.1.1. 혈액투석의 정의
혈액투석은 인공신장기를 이용한 체외순환을 통해 혈액을 정화하는 방법이다. 확산과 초여과라는 두 가지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혈액 내의 과다한 노폐물과 전해질, 수분이 반투막을 통과하여 제거되는 것이다. 혈액은 인공신장기 내의 섬유관을 통과하면서 투석액과 물질 교환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체내의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 등의 노폐물이 제거되고 전해질 및 수분의 균형이 조절된다. 이처럼 혈액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의 신기능을 보완하여 생명유지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필수적인 치료방법이다.
2.1.2. 혈액투석 장치 구성요소
혈액투석은 인공신장기를 이용한 체외순환을 통해 혈액을 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