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유아 발달 관찰일지의 의의
유아 발달 관찰일지는 유아의 전반적인 성장과 발달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록하여 유아의 학습과 활동을 이해하고 지원하는데 활용되는 중요한 도구이다. 유아의 일상생활과 놀이 속에서 관찰한 행동과 반응을 상세히 기록함으로써 유아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사회적, 언어적 발달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유아 개개인의 요구와 흥미에 맞는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관찰일지는 유아의 성장과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환경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결과적으로 유아 발달 관찰일지는 유아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높이고,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1.2. 관찰 대상 및 관찰 기간
<관찰 대상 및 관찰 기간>
본 관찰일지는 만 1세 유아 7명을 대상으로 3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신체운동,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등 다양한 발달 영역에서의 변화와 성장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들의 발달 특성을 분석하고, 교육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유아들은 점차 자율성과 의사표현 능력이 향상되어 왔다. 기본생활습관 면에서 스스로 식사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해졌으며, 신체활동에서도 공을 다루고 움직임을 조절하는 능력이 늘어났다. 의사소통 측면에서는 질문과 대답을 통해 사물의 이름을 익히고, 간단한 문장으로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려 하였다.
또한 자연탐구와 예술경험 활동에서 유아들은 다양한 사물을 감각적으로 탐색하고 경험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회관계 영역에서는 친구들과 함께 놀이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자신의 물건을 공유하려는 태도도 관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의 발달을 위해서는 다양한 감각 경험을 제공하고, 또래 간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 개개인의 고유한 요구와 흥미를 반영하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발달 영역별 관찰 내용
2.1. 기본생활습관
유아는 점차 자율성이 발달하며 스스로 식사할 때의 모습이 향상되고 있다. 식사 시간에 유아는 숟가락을 잡고 국을 떠먹으려 하지만 아직 숟가락 조절이 어려운 편이다. 교사가 도와주려 하자 유아는 손을 흔들며 "내가!"라고 말하며 스스로 시도한다. 이후 천천히 입에 넣으며 만족한 듯 웃는다. 밥을 먹고 나서는 물티슈로 입과 손을 닦으며 "깨끗해!"라고 말한다.
배변 훈련 과정에서 유아는 아직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 대해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교사가 기저귀가 깨끗해질 것이라고 설명하자 잠시 변기에 앉아 있으나 배변을 하지 못하고 일어나려 한다. 교사가 조금 더 앉아보도록 격려하자 다시 앉게 되고, 배변을 하지 못하더라도 스스로 물을 내리고 손을 씻으려 한다.
낮잠 시간에는 엄지손가락을 빨며 잠이 드는 모습을 보인다. 교사가 손가락을 빼려 하면 잠시 손을 뺐다가 다시 빨게 되지만, 마지막에는 손가락을 빼고 잠들게 된다. 또한 기저귀 대신 팬티를 입고 잠을 자려 한다.
2.2. 신체운동
유아는 3월 한 달 동안 다양한 신체 활동에 참여하며 점진적으로 발달을 보였다. 유아는 놀이매트에서 큰 공을 굴려보며 스스로 공을 따라가고 밀어보는 등 공 다루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특히 공이 멀리 가자 몇 걸음 뛰어가며 공을 잡으려 하는 모습에서 신체 조절력이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아는 낮은 계단에서 점프하기를 반복적으로 시도하며 점차 자신감을 기르는 모습을 보였다. 처음에는 교사의 도움을 받아 점프하였지만, 이후 스스로 시도하며 성공한 경험을 반복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신체 활동에 대한 즐거움과 도전 의식이 커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트램펄린에서도 유아는 점프하는 동작을 익히며 점차 높이와 속도를 조절하는 능력을 보였다. 교사의 시범을 보고 따라하는 모습에서 시작하여, 점프 동작을 스스로 반복하며 신체 움직임을 능숙하게 제어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는 큰 웃음을 지으며 신체 활동의 즐거움을 표현하였다.
전반적으로 유아는 다양한 환경에서 제공되는 신체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신체 조절력과 움직임 기술이 점차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친구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신체 활동을 즐기고 도전하려는 태도가 드러났다. 이를 통해 유아의 전반적인 신체 발달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3. 의사소통
유아는 점차 의사소통 능력이 발달하며, 자신의 요구와 생각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책을 보며 그림을 가리키며 "이거?"라고 물어보는 등 호기심을 드러내고, 교사의 설명에 따라 간단한 단어를 모방하여 따라 말한다. 또한 손짓이나 표정 등을 활용하여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려 한다. 이후 점진적으로 단문을 구사하며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말로 표현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뱀!" "길..." 등 단순한 문장으로 그림의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