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계점검
1.1. 기계설비 성능점검
기계설비의 성능점검은 정기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유지관리 점검표를 확인하여 기계설비의 주요 점검 항목을 확인한다. 점검 결과를 토대로 기계의 상태와 성능을 판정하며, 문제점이 발견된 경우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점검표에 명시된 유지관리 점검 항목에 따라 기계의 상태를 확인한다. 샤프트와 패킹, 베어링 및 모터의 마모 상태와 이상 소음 및 진동 상태를 점검한다. 또한 베이스 앵커볼트의 노후 및 풀림 상태와 전류 차단 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
유량, 양정 및 동력의 적정 상태를 확인한 결과, 일부 항목에서 부적합 판정이 내려졌다. EOCR 설정값이 현재 동작전류까지 낮춰져 있어 EOCR 작동이 불능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EOCR 교체 작업 후 적정 차단전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종합적인 점검 결과, 상태점검은 B등급, 안전성능은 D등급, 효율성능은 B등급으로 판정되었다. 펌프 성능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EOCR 장치의 문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유지관리 점검표 확인
유지관리 점검표 확인이다. 유지관리지침서와 기계설비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 대상 현황표와의 적합여부를 참고하여 점검결과를 작성한다. 점검결과에는 [적합 ㅇ, 부적합 X, 해당없음 /]을 표기한다. 전체 수량의 20% 이상 범위 내에서 점검을 실시한다.
기계설비 유지관리와 성능 유지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점검이 필수적이다. 유지관리 점검표에는 기계의 주요 구성요소와 상태에 대한 점검 항목이 상세히 포함되어 있다. 점검 시 각 항목에 대한 점검결과를 기록하고 점검 기준에 따라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정기적으로 전체 기계 대수의 20% 이상을 점검하여 기계 상태를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이상 발견 시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기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1.3. 주요 점검 항목
기계의 주요 점검 항목은 샤프트 및 패킹, 마모 상태이다. 이상 소음 및 진동 상태, 베어링 및 모터 등의 과열 상태, 베이스 앵커볼트의 노후 및 풀림 상태, 이상전류 차단 장치의 동작 상태, 유량, 양정 및 동력의 적정 상태 등이다. 이러한 점검 항목들을 통해 기계 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샤프트와 패킹의 마모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 소음이나 진동이 없는지, 베어링과 모터의 과열 상태는 적정한지, 베이스 앵커볼트에 풀림이나 노후화가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이상전류 차단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유량과 양정, 동력이 적정한 수준인지 점검한다. 이러한 점검을 통해 기계 설비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1.4. 점검 결과 및 판정
점검 결과 냉온수 순환펌프 1호기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다. 유량, 양정, 동작전류, 차단전류 등 기준치 내에 있으며, 진동과 온도도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이상전류 차단장치 동작 상태가 부적합하여 EOCR 설정값을 현재 동작전류까지 낮춰서 작동 확인 시 작동 불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EOCR 교체 작업을 진행하고 적정 차단전류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인 성능 점검 등급은 B로 안전성능의 경우 D등급이기는 하나 효율성능이 B등급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양호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1.5. 문제점 발견 및 조치사항
EOCR 설정값을 현재 동작전류까지 낮춰서 EOCR 작동 확인 시 작동 불능이다. EOCR 교체 작업을 진행 후 적정 차단전류 설정이 필요하다(60A~72A사이로 조정).
2. 자궁내막질환
2.1.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증은 성장, 증식, 출혈 등의 기능이 있는 자궁내막의 선조직과 기질이 자궁 외 부위에 존재하여 동통, 불임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는 유전적 요인, 면역학적 요인, 내분비학적 호르몬 요인, 신체적·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자궁내막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월경통, 성교통, 골반통, 배변통 등의 통증과 불임증이 있으며, 이는 유착, 반흔, 복막 긴장, 골반 혈류의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또한 자궁내막증은 내진 시 크고 통증 있는 자궁을 촉지할 수 있으며, 성교통, 만성 골반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약 80%에서 자궁근종,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 등의 질환이 동반되기도 한다.
자궁내막증의 진단은 병력 청취, 질 및 직장 양손 진찰, 분할 소파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