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민연금의 적립방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민연금의 적립방식과 부과방식
1.1. 국민연금의 재정운용방식
1.2. 적립방식의 장단점
1.2.1. 장점
1.2.2. 단점
1.3. 부과방식의 장단점
1.3.1. 장점
1.3.2. 단점
1.4. 적립방식과 부과방식의 비교
1.5. 국민연금 재정방식의 전환 논의
2. 국민건강보험료의 부과 방식
2.1. 소득 중심 부과의 필요성
2.2. 지역가입자 소득 파악의 어려움
3. 사회보장제도의 재정운용 방식
3.1. 민간보험과 사회보험의 차이
3.2. 사회보험의 부과방식 선호 배경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민연금의 적립방식과 부과방식
1.1. 국민연금의 재정운용방식
국민연금의 재정운용방식은 적립방식과 부과방식으로 구분된다. 적립방식은 가입자가 낸 보험료를 적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금급여를 지급하는 방식이며, 부과방식은 현재 근로자들의 보험료로 현재 노인층의 연금급여를 충당하는 방식이다.
현행법상 국민연금은 가입자가 낸 보험료가 보험급여 뿐만 아니라 적립금으로 지출되는 부분적립방식으로 재원을 조달하고, 수급자에게 정해진 금액을 국민연금급여로 지급하는 확정급여형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연금기금으로부터의 전입금, 국가보조금, 차입금, 그 밖의 수입금으로 수입을 확보하고, 각종 급여·적립금·환부금·차입금의 상환금과 이자, 그 밖의 공단의 운영과 사업을 위한 각종 경비를 지출한다. 이를 통해 국민연금 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원활하게 확보하고 급여를 충당하기 위한 책임준비금으로 국민연금기금을 운용하고 있다.
이처럼 국민연금은 부분적립방식을 채택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부담 증가 등의 이유로 재정방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확정급여형보다는 확정기여형으로의 전환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원조달방식도 적립방식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확정기여형의 적립방식은 사회적 연대성의 원리가 약화되는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적립방식의 장단점
1.2.1. 장점
현행법상 국민연금은 가입자가 낸 보험료가 보험급여 뿐만 아니라 적립금으로 지출되는 부분적립방식으로 재원을 조달하고, 수급자에게 정해진 금액을 국민연금급여로 지급(확정급여형: definde benefit)한다. 이는 적립방식의 장점으로 볼 수 있는데,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민연금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고 급여를 충당하기 위한 책임준비금으로 국민연금기금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연금기금으로부터의 전입금, 국가보조금, 차입금, 그 밖의 수입금으로 수입을 확보하고, 각종 급여·적립금·환부금·차입금의 상환금과 이자, 그 밖의 공단의 운영과 사업을 위한 각종 경비를 지출한다. 따라서 적립방식은 가입자가 근로기에 갹출한 보험료로 적립된 기금과 기금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얻은 이자와 합하여 본인의 노후 연금급여의 비용을 조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1.2.2. 단점
적립방식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원조달방식을 개편하기 위해서는 급여산정방식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예컨대 완전 적립방식의 확정급여형 국민연금은 운영이 쉽...
참고 자료
김엘림(2008), 『사회보장법』,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김수완(2015), “국민연금기금 투자에서의 공공성”, 한국사회정책학회, 『한국사회정책』.
윤석진(2007), “공적연금법제의 헌법적합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학위논문.
최 원, “국민연금보험료 부과대상에 대한 헌법적 고찰”, 「사회보장연구」 제25권(한국사회보장학회, 2009).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