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기양막파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의 필요성
2. 본론
2.1. 조기양막파수의 정의
2.2. 조기양막파수의 원인
2.3. 조기양막파수의 병태생리
2.4. 조기양막파수의 증상
2.5. 조기양막파수의 진단검사
2.5.1. 니트라진 검사
2.5.2. Actim 검사
2.5.3. 태아 섬유결합소 검사
2.6. 조기양막파수의 치료
2.6.1. 임신 주수별 치료
2.7. 조기양막파수의 합병증과 예후
2.8. 조기양막파수 간호중재
3. 간호과정 적용
3.1. 간호력
3.2.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4. 결론
4.1. 연구 요약
4.2. 느낀 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출산은 일반적으로 임신 40주를 정상적이라고 판단하지만, 37주를 기준으로 주수를 채우지 못하고 조산하는 경우가 있다. 조기양막파수는 조산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이는 가임기 여성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존재하는 모든 가임기 여성들과 출산을 앞둔 여성들이 고민할 수 있는 문제이다. 최근 결혼과 출산의 나이가 높아지면서 35세 이상 고령 임산부가 증가하고 있어 위험임신이 늘고 있다. 실제로 2021년 기준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은 33.4세, 부(父)의 평균 출산연령도 35.9세로 증가했다. 이러한 산모의 출산 연령 증가는 조기 양막 파수, 출산 후 출혈, 자궁경관무력증 등 임신 합병증으로 이어진다. 또한, 자연조산은 자연적인 조기 진통, 조기 양막 파수로 인한 조산을 지칭하며 전체 조산의 약 75% 정도를 차지한다.
1.2. 연구의 목적
조기양막파수란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진통이 오기 전 양막이 파열하여 흐르는 상태이다. 이는 태아와 산모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이며, 감염과 조산의 위험이 크다. 따라서 조기양막파수의 원인과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치료법 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양막파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이를 토대로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1.3. 연구의 필요성
조기 양막 파수는 임신 37주 미만에 발생하는 응급 상황으로, 임신 및 출산과정에서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 최근 결혼과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35세 이상 고령 임산부가 증가하고 있고, 이는 조기 양막 파수, 출산 후 출혈, 자궁경관무력증 등 임신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자연조산의 약 75%가 조기 양막 파수로 인한 것으로, 이는 가임기 여성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존재하는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조기 양막 파수에 대한 정의, 원인, 간호 중재 등을 알아보고, 합병증을 최소화하여 산모와 태아 모두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2. 본론
2.1. 조기양막파수의 정의
조기양막파수는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진통이 오기 전 양막이 파열하여 흐르는 상태이다. 조기 양막파수는 만삭 조기파막과 만삭 전 조기파막으로 나뉘는데, 만삭 조기 파막은 임신 37주 이후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양막이 파열되고 24시간 이내에 80~90%가 분만이 시작되는 반면, 만삭 전 조기파막은 임신 37주 미만에 진통이 생기기 전 파막이 된 것으로 진통은 파막 후 수일 ~ 수주 이후 시작된다. 특히 만삭 전 조기 파막은 만삭 조기파막보다 융모양막염과 자궁내막염의 발생빈도가 높아 감염으로 인해 임부와 태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양수가 터진 후 24시간 후부터 감염이 발생빈도가 높아지므로 항생제를 사용한다. 자연양막파수, 인공양막파수, 조기양막파수로 구분할 수 있다.
2.2. 조기양막파수의 원인
조기양막파수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여러 요인과 관련이 있다. 임신 말기에는 자연적인 현상이나 임신 중기라면 국소적 감염이 상행성 감염을 일으켜 태아막이 약화되어 파막될 수 있다. 경관 무력증, 선진부의 진입 지연, 양수과다증과 다태임신으로 자궁 내 압력이 높은 경우, 산부의 연령, 다산부, 흡연, 조산, 임신 중 체중 증가가 적은 것 등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양수과다, 자궁경부 무력증, 양막 천자 후, 흡연, 다태임신, 태반조기박리, 이전의 만삭 전...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학 Ⅱ, 수문사, 제 10판,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20, 180~184, 445~446p
여성건강간호학 임상실습 지침서, 은학사, 이상복, 한지우, 최은영, 2021,139~148p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개정판, 성미혜, 정향미, 박은영, 김영희, 박진희, 2020
정지윤·문종수, 만삭전 조기양막파수의 처치, 한림대학교 외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Korean Journal of Fetal MedicineVol. 4 No. 3 September 2008, 199~207page
가천대 길병원 조기양막파수
https://www.gilhospital.com/-483
[네이버 지식백과] 양막 파수 [rupture of membran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480&cid=51007&categoryId=51007&anchorTarget=TABLE_OF_CONTENT4#TABLE_OF_CONTENT4
서울아산병원_조기양막파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45
차케어스 건강정보
https://www.chamc.co.kr/health/guide/default.asp?ct_id=326&cc_id=32606
대한진단검사 의학회 – 임상검사 수치 임상적 의의
https://labtestsonline.kr/
식품의약품 안전처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198200072
최연순 외, 여성건강간호학I, 수문사,
최연순 외,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http://www.druginfo.co.kr/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1236&cid=40942&categoryId=32791
http://health.naver.com/medical/testAndTreat/detail.nhn?selectedTab=detail&checkupTreatmentMethodTypeCode=BB&checkupTreatmentMethodCode=BB000050&cpId=ja2&move=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