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화 코코의 죽음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영화 코코의 죽음관
2.1. 영화의 개요
2.2. 코코의 가족과 주요 갈등
2.3. 멕시코의 '망자의 날'
2.4. 영화 속 죽음관
2.5. '망자의 날'에 대한 한국인의 수용 가능 여부
2.6. 좋은 죽음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영화 '코코'는 죽음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작품이다. 영화의 배경이 되는 멕시코의 '망자의 날'이라는 전통 축제를 통해 죽음을 바라보는 문화적 특성을 잘 보여주며, 이를 토대로 '좋은 죽음'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영화 속 주인공들의 가족 관계와 갈등을 통해 죽음의 의미가 삶과 깊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영화가 한국 관객들에게도 호응을 얻은 것은 '망자의 날'이라는 특수한 문화적 배경이 우리나라의 제사 문화와 유사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영화 '코코'는 죽음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하며, 가족애와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2. 영화 코코의 죽음관
2.1. 영화의 개요
영화 <코코>의 컨셉은 멕시코의 공휴일인 망자의 날을 기반으로 한다. 영화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멕시코 12살 소년 미구엘은 가업인 구두 제작을 이어야 하는 숙명을 가졌지만 뮤지션이 되고 싶어 한다. 집안 대대로 음악은 절대 금지라는 호령에도 불구하고 미구엘은 자신의 우상인 에르네스토 델라크루즈를 보며 꿈을 더 키워간다. 이 소년은 델라크루즈의 기타에 손을 대었다가 '죽은 자들의 세계'에 들어가게 된다. 이 망자의 땅에서 헥터를 만나게 되고, 여러 사건을 겪으며 헥터가 자신의 고조 할아버지임을 깨닫게 된다. 또한 자신이 동경하던 델라크루즈가 자신의 고조 할아버지를 배신한 인물이라는 사실도 알게 된다. 미구엘과 헥터는 델라크루즈의 악행을 사람들 앞에 밝히는 데에 성공하지만, 헥터는 점점 생명을 잃어가게 된다. 이승에서 기억해주는 사람이 없으면 죽은 자들의 세계에서도 또다시 죽음을 맞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구엘은 증조 할머니인 코코로부터 헥터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이승으로 돌아가 'Remember me'라는 노래를 부른다. 이 노래는 코코가 어렸을 적 헥터가 코코에게 불러주었던 노래이다....
참고 자료
위키백과, 코코(영화)
https://ko.wikipedia.org/wiki/%EC%BD%94%EC%BD%94_(%EC%98%81%ED%99%94)
NAVER영화, 코코, 제작노트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1728
나무위키, 코코(애니메이션)
https://namu.wiki/w/%EC%BD%94%EC%BD%94(%EC%95%A0%EB%8B%88%EB%A9%94%EC%9D%B4%EC%85%98)
육상효. 가족 영화로 본 한국과 미국의 영화 스토리텔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3.
김시몬. 특집 : 가족 ; 영화 속의 가족. 한국상담선교연구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