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자폐스펙트럼 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이 있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과 활동을 보임으로써 교육적 성취나 일상생활 적응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의미한다. 신경발달적 장애군으로 분류되며 뇌구조, 발달, 뇌신경화학 등에 이상이 있는 것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명확한 인과관계가 밝혀지지는 않은 상태이다. 자폐스펙트럼 장애는 스펙트럼이라는 말이 보여주듯 매우 광범위한 장애유형을 포함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자폐스펙트럼 장애가 가지는 특성과 이를 위한 교육적 지원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특성
2.1. 의사소통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의 언어적 결함은 매우 두드러지는 특성이다. 약 50%는 말을 하지 않으며 단순한 소리나 허밍 등을 내기도 한다. 또한 말을 이해하고 적절한 말을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보인다. 범주적 어휘와 관계어 습득에도 더 많은 결함을 가지고 있다. 발달 초기부터 언어 발달의 지연이 나타나고, 같은 단어나 문장을 반복하거나 상황에 맞지 않는 낱말 사용, 이상한 말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등의 특징을 보인다. 자발적으로 언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모습도 부족하다.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는 반향어의 사용이다. 반향어는 말이나 문장 등을 의미 없이 그대로 반복하는 것으로, 상대방의 말을 똑같이 따라하는 모습을 보인다.
2.2. 사회적 관계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은 사회적 관계에 매우 큰 결함을 가진다. 사람에게보다는 사물에 더 관심이 많으며 다른 사람의 정서적 상태를 지각하는 것이나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가진다. 다른 사람에게 관심이 없고 정서를 표현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애착의 형성도 어려우며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 것도 어려움을 가진다. 사회적인 제스처를 하거나 알아듣는것에도 관심을 보인다. 사회적 관계에 결함을 갖도록 하는 원인 중 하나는 앞서 제시한 의사소통의 결함이다. 적절한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게 되며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결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사회적 관계에도 결함을 갖는다. [1]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결함과 제한된 행동이나 반복적 행동 양상을 보인다. 생후 1~2년 사이에 눈 맞춤, 미소, 모방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상호성 관련 행동특성이나 반복적인 동작, 자세, 외부 자극에 대하여 일반적이지 않은 반응을 나타내며,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보인다. 상호성의 결함은 대인관계에서 감정을 교환하는 상호반응이나 정서적인 유대가 잘 형성되지 않게 되어 어머니와 애착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2]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은 사회적 관계에 매우 큰 결함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의사소통의 결함으로 인해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의 부족으로 이어진다. 또한 타인의 정서적 상태를 지각하거나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애착 형성과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결함이 자폐스펙트럼장애의 핵심적인 특징이다. [1,2]
2.3. 지적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지닌 개인의 지적기능은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약 40%에서 80%의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이 지적장애의 수준을 나타내지만, 소수의 경우 특정 영역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영역에서 지적장애를 나타내는 아동이 극소수 예외적인 영역, 예를 들어 기억력이나 수학적 계산능력, 음악적 재능 등에서 탁월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강점을 지닌 영역은 개인차가 크며, 개별 아동의 고유한 특성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러한 특정 영역의 우수한 능력들도 사회적으로 적절한 방식으로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지적기능은 개인마다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특정 영역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전반적인 적응과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