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래소비사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래소비사회의 변화 전망
1.1. 코로나19에 따른 소비사회 변화
1.2. 미래의 소비 변화 예측
1.3. 소비 변화에 따른 기술 및 산업 변화
1.4.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사회적 가치의 변화
1.5. 3D 프린터를 통한 코로나19 대비 소비사회 변화
2. 반도체 및 이차전지 산업의 현황과 전망
2.1. 대한민국의 핵심 성장 동력: 반도체 산업
2.2. 반도체 산업의 주요 현황 및 트렌드
2.3. 이차전지 산업의 주요 현황 및 트렌드
2.4. 반도체 산업의 성장을 위한 방안
2.5. 이차전지 산업의 성장을 위한 방안
3. 2030년 미래 트렌드 분석
3.1. 2030년 선정 사유
3.2. 현재 시대의 분석
3.3. 2030년 메가 트렌드 도출
3.4. 사회, 기술, 경제, 환경, 정치 분야별 세부 내용
3.5. 2030년 트렌드에 맞는 새로운 아이템 제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미래소비사회의 변화 전망
1.1. 코로나19에 따른 소비사회 변화
코로나19는 2019년 12월경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현재까지 백신이나 치료제가 발명되지 않아 사람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방법을 통해 접촉에 의한 감염을 막고 있다. 이에 따라 외출 시 밖에서 하는 대면소비보다는 배송서비스를 통한 비대면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미국에서는 가격인하와 무료배송 서비스로 온라인을 이용한 소비공급이동이 가속화되었고, 중국은 소비저하로 인한 경기침체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부양책을 펼치고 있다. 독일의 경우에는 소득감소로 인한 저가 소비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소비공급망이 더 지역화되고 거리가 짧아졌으며, 미국 정부는 향후 리쇼어링 행정명령을 검토하고 있다.
이처럼 코로나19로 인해 소비공급망이 지역화되고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작은 지역 내에서 모든 제품을 제작하기 어려워 개인이 직접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생필품을 직접 만들고 사용하면서 제품을 만드는 기술과 아이디어에 대한 소비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에 따라 3D 프린터기와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 범용성 있는 제품 생산 소재, 다양한 제품 도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1.2. 미래의 소비 변화 예측
코로나19로 인해 소비공급망이 지역화되고 거리가 짧아지고 있다. 미국 정부가 리쇼어링 행정명령을 검토하는 것처럼 각 지역과 국가에서도 공급망 지역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국소적인 지역 내에서 상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개개인이 직접 필요한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소비하게 될 것이다. 생필품을 직접 만들고 사용하면 그것을 만들 수 있는 기술과 아이디어의 소비가 이루어질 것이다.
생필품 제작을 위해 필요한 3D프린터기와 소프트웨어 기술, 제품 생산을 위한 범용성이 높은 소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관련 기술도 발전할 것이다. 사용이 편리하고 널리 보급될 수 있는 3D프린터기의 제작 기술, 3D 프린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 있는 소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상용화를 위한 소형 3D프린터 상품, 3D프린터의 대여/as서비스도 필요할 것이다.
상품을 만들 수 있는 프린터기와 재료가 준비되면, 상품을 만들 도안이 필요해질 것이다. 도안을 직접 만들거나 도안을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이 등장할 것이다.
현재의 소비 형태에서는 생산자가 아이디어를 상품화하여 생산하고 소비자가 소비하지만, 3D 프린터를 통해 소비자가 직접 생산을 하게 되면 생산자와 소비자의 구분이 없어질 것이다. 아이디어의 소비가 늘어날 것이며, 이에 따라 아이디어의 공급과 소비를 통제하기 위한 법제화가 이루어지고 아이디어 자체의 가치가 높아질 것이다. 도안들이 가치를 가지고 상품으로 판매되는 것이 기대되며, 아이디어 상품판매에서 새로운 비즈니스도 등장할 것이다.
그러나 3D 프린터기의 보급, 만들 수 있는 제품의 한계, 아이디어 교류의 문제 등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저렴한 3D 프린터 제작기술과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소재 개발, 아이디어와 기술의 보호를 위한 법제화와 사회 인식 변화 등이 필요할 것이다.
1.3. 소비 변화에 따른 기술 및 산업 변화
코로나19로 인해 오프라인 소비가 위축되고 온라인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쇼핑 플랫폼, 배송 서비스, 디지털 콘텐츠 등의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비대면 서비스의 수요가 늘면서 언택트 기술, 인공지능, 증강현실 등의 기술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온라인 쇼핑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온라인 플랫폼, 모바일 결제, 데이터 분석 기술 등이 더욱 발전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과 선호도에 관한 방대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술이 향상되어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배송 서비스의 효율화를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드론 배송 등이 도입되고 있다.
언택트 문화의 확산에 따라 원격 교육, 화상 회의,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메타버스 플랫폼의 등장으로 가상세계에서의 경제활동, 사회활동 등이 가능해졌다. 이는 기존 산업의 지형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개인 맞춤형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3D 프린팅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3D 프린팅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되면서 생산과 소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차질을 보완하기 위해 3D 프린팅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혁신이 일어나고 새로운 산업이 등장하면서 미래 소비 사회를 선도할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기술 개발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힘써야 할 것이다.
1.4.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사회적 가치의 변화
현재의 소비 형태는 생산자가 아이디어를 상품화하여 상품을 생산하고 소비자들이 소비한다. 그러나 3D 프린터를 통해 소비자가 직접 생산을 하게 된다면 생산자와 소비자의 구분이 사라질 것이다. 소비자가 생산의 주체가 됨에 따라 아이디어의 소비가 늘어날 것이다. 물건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이디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맞춰 아이디어의 공급과 소비를 통제하기 위한 법제화가 이루어지고, 아이디어 자체의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3D프린터 관련 도안을 교류하는 사이트는 대부분 무료이지만, 향후에는 도안들이 가치를 가지고 상품으로 판매될 것이다. 이에 따라 아이디어 상품 판매에서 새로운 비즈니스들이 등장할 것이다.
소비자가 생산의 주체가 되면서 아이디어의 소비가 증가할 것이며, 이에 따라 아이디어 보호와 가치 향상을 위한 법제화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아이디어 상품화 및 거래에 대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종전의 소비 구조에서 벗어나 생산자와 소비자의 구분이 모호해지며, 이는 사회적 가치 변화로 이어질 것이다.
1.5. 3D 프린터를 통한 코로나19 대비 소비사회 변화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사회 변화와 3D 프린터
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의 소비행태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접촉을 줄이기 위해 오프라인 매...
참고 자료
네이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검색, (2020.04.05)
“코로나 19 그 이후, 다섯 가지의 변화”. 주간조선, (2020.03.23.[2600호])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600100009&ctcd=C02
코로나19 소비 트렌드 ‘저가격+기능성’ 주목, CNCNews, (2020.04.02)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5289
리쇼어링: 해외에 나가 있는 자국기업들을 각종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자국으로 불러들이는 정책(네이버 지식백과, 리쇼어링[reshoring]), (2020.04.05)
http://www.korcham.net/new_pdf/target/%5BSGI%20%BA%EA%B8%AE%C7%C1%5D%20%B9%DD%B5%B5%C3%BC%20%BB%EA%BE%F7%C0%C7%20%B1%B9%B3%BB%20%B0%E6%C1%A6%20%B1%E2%BF%A9%BF%CD%20%B9%CC%B7%A1%20%B9%DF%C0%FC%C0%FC%B7%AB.pdf
http://webzine.koita.or.kr/202111-specialissue/%EC%84%B1%EC%9E%A5%EC%9E%A0%EC%9E%AC%EB%A0%A5%EC%9D%B4-%EB%A7%A4%EC%9A%B0-%ED%81%B0-%EC%9D%B4%EC%B0%A8%EC%A0%84%EC%A7%80%EC%9D%98-%EC%8B%9C%EC%9E%A5-%EC%A0%84%EB%A7%9D
https://newsroom.posco.com/kr/%EC%9D%B4%EC%B0%A8%EC%A0%84%EC%A7%80-%EC%86%8C%EC%9E%AC%EC%82%B0%EC%97%85%EC%9D%98-%EC%A7%80%EC%86%8D%EA%B0%80%EB%8A%A5%ED%95%9C-%EA%B3%B5%EA%B8%89%EB%A7%9D-%EA%B5%AC%EC%B6%95%EC%9D%98-%ED%95%84/
https://www.iea.org/reports/global-ev-outlook-2020
http://webzine.koita.or.kr/202209-specialissue/%EB%B0%98%EB%8F%84%EC%B2%B4-%EC%A3%BC%EC%9A%94-%EC%9F%81%EC%A0%90%EA%B3%BC-%ED%98%84%EC%95%88-%EA%B3%BC%EC%A0%9C-1
https://www.kaja.org/1458275600/?q=YToyOntzOjQ6InBhZ2UiO2k6MT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8839297&t=board
https://myctns.com/94/?idx=14661559&bmode=view
file:///C:/Users/moonh/Downloads/(S&T%20Market%20Report)%2062%ED%98%B8%20%EB%A6%AC%ED%8A%AC%EC%9D%B4%EC%B0%A8%EC%A0%84%EC%A7%80%20%EC%86%8C%EC%9E%AC_2018.10.pdf
file:///C:/Users/moonh/Downloads/%EC%A0%84%EA%B8%B0%EC%B0%A8%EC%9A%A9%20%EC%9D%B4%EC%B0%A8%EC%A0%84%EC%A7%80%20%EC%B4%88%EA%B2%A9%EC%B0%A8%20%EA%B8%B0%EC%88%A0%EA%B0%9C%EB%B0%9C%20%EB%8F%99%ED%96%A5.pdf
기획재정부, "‘21.6월 세계은행(World Bank)「세계경제전망」발표", 2021.6.9.
기획재정부, “2020년 1월 세계은행(World Bank)「세계경제전망」”, 2020.1.9.
박상영,"올해 세계 성장률 5.6% 80년 만에 가장 강력한 경제 회복 속도지만…",경향신문,2021.6.10, https://www.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cle/20*************
이지원, “매장서 사야 안심하던 50대까지 … 코로나가 바꾼 쇼핑 백태”, 더스쿠프, 2020.4.3.
전익호, “중국의 전자상거래 발전 현황 및 전망”, 해외경제 포커스 제2014-30호,2014.7.13~7.19.
PwC, “Megatrends: 5 global shifts changing the way we live and do business”, https://www.pwc.co.uk-/issues/megatrends.html
PwC, “Learning from the impacts of COVID-19 and leading the recovery”,https://www.pwc.com/gx-/en/issues/crisis-solutions/covid-19.html
산업비전연구팀, “한국 산업발전 비전 2030”, KIET산업연구원,2019.12.5.
Greg Nichols, “Welcome to 2030: Are you ready for the internet of the senses?”, ZDNet, 2019.12.12. https://www.zdnet.com/article/are-you-ready-for-the-internet-of-the-senses/
구본권, “ 스마트폰 시장 축소됐지만, 웨어러블•태블릿 큰폭 성장”, 한겨레신문,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68494.html#csidx82c07adb04f3ff19a0f4fea91093295
조성신, “"이게 말이 되나"…지난 5년간 소득 14% 늘때 집값 52% 뛰었다”, 매일경제, 2021.7.27,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1/07/721730/
김민제, “‘생분해 플라스틱’은 여전히 자연으로 돌아가지 못한다”, 한겨레신문, 2021.1.26.,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80416.html#csidx2f37ccb67d14f7682b5484d2051a910
“가상세계시장, 2030년 1700조원 성장”, 뉴스종합,http://mbiz.heraldcorp.com/view.php?ud=*************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