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급성신부전(Acute Renal Failure)은 신장 기능이 갑작스럽게 상실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몸 안의 노폐물 배출에 문제가 생겨 요독이 쌓이고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이 깨지게 된다. 며칠 내에 사구체여과율이 떨어지면서 혈장 크레아티닌과 요소 질소가 상승하게 된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 최소 약 400ml의 소변을 배설하지만, 이보다 적은 양의 소변을 배설하게 되면 사구체여과율 저하를 의미한다. 핍뇨는 하루에 100~400ml의 소변배설을, 그리고 무뇨는 100ml 이하의 소변배설을 말한다.
입원하는 환자의 약 10% 정도에서 급성신부전이 발생하며,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약 30%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급성신부전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급성신부전의 원인, 증상과 징후, 진단 방법, 그리고 치료 및 간호중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정의
급성신부전(ARF, Acute Renal Failure)은 신장 기능의 갑작스런 상실을 의미한다. 신장 기능이 상실되면 몸 안의 노폐물 배출에 문제가 생겨 요독이 쌓이고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이 깨진다. 며칠에서 몇 시간 내에 사구체여과율이 떨어지며, 혈장 크레아티닌과 요소 질소가 상승한다. 정상 식사를 하는 건강한 성인은 신장을 통해 노폐물을 배설하기 위해 24시간에 최소한 약 400ml의 소변을 배설한다. 이보다 적은 양은 사구체여과율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한다. 핍뇨는 하루에 100~400ml의 소변배설을, 그리고 무뇨는 100ml 이하의 소변배설을 의미한다. 급성신부전은 신장 기능의 단기적인 문제를 말하며 급격하게 소변량이 감소하는 증상이 가장 대표적이다. 만성신부전은 3개월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장기에서 이상 증상이 나타나서 되돌릴 수 없을 만큼 신장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의미한다. 급성신부전은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의 약 10% 정도에서 나타나며,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약 30%에서 나타난다. []
2.2. 병태생리
급성신부전의 병태생리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손상된 요세관이 정상적으로 염분을 보유할 수 없게 되면 renin-angiotensin 체계가 활성화되어 구심성, 원심성, 소동맥의 긴장도가 증가하고, 콩팥으로의 혈류공급이 감소한다. 그 결과 콩팥에 국소빈혈이 나타나 Vasopressin 분비가 증가하고 세포 내 부종이 생기며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이 방해받아 renin-angiotensin 체계를 더욱 자극한다. 감소된 혈류로 사구체압력과 사구체여과율이 감소하여 핍뇨가 유발된다.
핍뇨기에는 소변 배설량이 400ml/day 미만이 되며 이는 급성신부전 초기 대표적 임상증상이다. 또한 체액량 과다로 인해 경정맥 팽창, 부종, 고혈압, 심부전, 폐수종, 심낭삼출과 흉막삼출이 발생한다. 대사성 산증이 나타나 혈청 중탄산염이 감소하여 Kussmaul 호흡(기면, 혼미)이 나타날 수 있다. 손상된 세뇨관으로 인해 소변의 나트륨 배설량이 증가하여 혈청 내 나트륨 수준은 감소하는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한다. 신장의 칼륨 배설 능력 저하로 고칼륨혈증이 나타나며, 이는 산증을 악화시킨다. 적혈구 생성인자의 생성 장애로 빈혈과 혈소판 이상으로 출혈이 발생하며, 면역 결핍이 나타난다. 신장의 비타민D 활성화 능력 감소로 저칼슘혈증, 고인산혈증이 발생하여 신성 골이영양증, 골연화증, 낭성섬유성 골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신경학적으로는 질소 노폐물 증가로 피로, 집중력 감소, 불안, 권태, 발작, 경련, 혼미, 혼수상태 등이 발생한다. 이뇨기에는 소변배설량이 1~3L/day로 증가하며, 소변 농축 능력이 부족하여 저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탈수 증상이 나타난다. []
2.3. 원인
급성신부전의 주요 원인은 신장 기능 저하와 관련된다.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신전성 신부전이다. 체액 부족, 심박출량 감소, 전신의 혈관 확장, 저혈압 등이 원인이 된다. 두 번째는 신성 신부전으로, 요세관 손상, 콩팥 독성 물질, 혈관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세 번째는 신후성 신부전으로, 요관과 방광경 폐색이 원인이 된다. 이 세 가지 유형의 신부전은 모두 신장 기능의 급격한 상실로 이어져 혈액 내 요소와 크레아티닌이 증가하게 된다. 신속한 대처로 회복이 가능한 질환이므로 정확한 원인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1,2,3]
2.4. 증상과 징후
급성신부전 환자의 약 30%는 다뇨를 보이지만, 대부분 무뇨 또는 핍뇨가 나타난다. 비소변감소증성 또는 다뇨성 급성신부전의 경우 하루 2L 이상, 등장성에 가깝고 요비중이 낮은 소변이 배설되며, 다뇨로 인해 기립성 저혈압, 점막 건조, 피부 긴장도 저하가 유발된다. 소변감소증성 급성신부전의 경우 요배설량이 400ml/day 이하로 감소한다.
신전성 급성신부전의 경우 소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