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내가 사회복지사라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자질
2.1.1. 중개자
2.1.2. 옹호자
2.1.3. 교사
2.1.4. 상담가 및 임상가
2.1.5. 행정가
2.2. 내가 꿈꾸는 사회복지사로서의 길과 필요한 자질
2.2.1. 관심
2.2.2. 이해
2.2.3. 자기노출
2.2.4. 감정이입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사업법의 규정을 보면 사회사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를 사회복지사로 규정하고 있다.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에 관련한 전문지식과 기술 등을 가진 자로 그러한 자격의 정도에 따라서 우리나라는 1, 2, 3급으로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80년대에 들어서 복지국가의 건설을 위해서 기본적인 법과 제도 등을 확립했다. 사회복지사업법의 사회복지사업 종사자 자격 규정 이후에 정치와 경제 그리고 사회 등의 급격한 변화 등에 따라서 국민의 복지욕구가 증가하고 복잡, 다양화됨으로 사회복지사업의 전문성이 점차 고조되며 사회복지사업 종사라고 시작해서 85년부터 사회사업가라고 하는 명칭이 사회복지사로 규정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사협회에서는 사회복지사에 대해서 사회복지에 관련한 소정의 전문 지식과 기술 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복지사의 자격을 부여하며 이들에게 복지업무 등을 담당하게 함으로 아동과 청소년 그리고 노인과 장애인 등 보호가 필수적인 사람들에게 전문적, 체계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이라고 규정한다.
2. 본론
2.1.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자질
2.1.1. 중개자
중개자로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적절한 인간 서비스와 자원에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 사정, 자원 사정, 의뢰, 서비스 연계, 자원 발굴 등의 활동을 한다.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와 자원을 발견하고 연계하는 것이 중개자로서의 주요 책임이다. 단순히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중개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권한을 부여한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환경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가장 적절한 서비스와 자원을 연결해 줌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2.1.2. 옹호자
옹호자로서 사회복지사는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받을 권리를 유지하도록 돕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 정책을 변화시...
참고 자료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김명희/한양대학교/2007
새 천년을 열어갈 사회복지사의 길/이용교/광주대학교/2002
생각의 마을,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2023) (21회 시험대비), 공동체, 2022.04.30.
박옥희,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2016.08.10.
델레가, 자기노출 (친밀한 관계 형성의 중요한 요소), 고려대학교출판부, 2009.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