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계설치 적격성 체크리스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계설치 적격성 체크리스트
1.1. 실험 2 멸균기 운전 적격성 평가 (열 침투)
1.2. 실험 3 멸균기 운전 적격성 평가 (미생물을 이용한 멸균확인)
2.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인증 제도 및 사례
2.1.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 제도운영 규정
2.2. 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사례
3. 친환경 건축인증 사례조사
3.1. 친환경 건축인증 해외사례
3.2. 친환경 건축인증 국내사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계설치 적격성 체크리스트
1.1. 실험 2 멸균기 운전 적격성 평가 (열 침투)
Autoclave가 특정 조건에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적격성을 평가한다. Validator를 이용해 멸균기의 F0 값을 계산하여 validation을 실시함으로써 기기 작동의 적부판정을 한다.
실험에 사용되는 시약으로는 별도의 시약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구로는 validator, autoclave를 사용한다.
먼저 validator의 probe를 autoclave 내부에 두어 온도, 압력, 습도 등의 값을 1시간 동안 저장한다. 이후 create report 기능을 통해 온도, 습도, 압력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F0 값을 계산할 수 있다.
121°C에서 20분 이상 유지되고 F0 값의 합이 15 이상이면 autoclave가 적절하게 작동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험 결과 121°C에서 20분 이상 유지되었고 모든 F0 값이 15 이상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번에 사용된 autoclave는 적격하다고 할 수 있다.
주의사항으로는 validator와 probe를 다룰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autoclave의 내·외부 온도가 높아 화상에 유의해야 한다.
1.2. 실험 3 멸균기 운전 적격성 평가 (미생물을 이용한 멸균확인)
Autoclave의 특정 조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멸균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열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Autoclave에 균을 배양한 후 멸균 전 후 균수를 측정하여 멸균이 기준에 적합하게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Autoclave의 적부판정을 실시한다.
먼저 멸균의 정의는 세균의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살균 또는 제거시키는 것으로 고압증기멸균, 여과멸균, 화염멸균, 건열멸균, 가스멸균, 화학멸균 등이 이에 속한다. 즉, 미생물 특히 세균 균류를 죽여서 이것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고압증기멸균기(autoclave)의 멸균 원리는 고온, 고압의 증기로 단시간 멸균하는 방법이다. 멸균효과가 크며 편리하고 경제적이나 열에 약한 플라스틱, 고무제품 등에는 적합하지 않다. 고압의 증기를 이용한 멸균기인 Autoclave는 고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철제로 되어 있고 뚜껑도 튼튼한 철제로 되어 있어 밀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내부에 물을 넣어 가스나 전열로 가열해 수증기를 발생하거나 또는 직접 내부에 수증기를 보내어 증기를 채운다. 압력조절판으로 적당한 압력에 달하게 하여 소정의 온도 증기로 물품을 멸균한다. 통상 1.0∼1.1 kg/cm2(약 15파운드/평방인치, 약 2기압℃)의 압력으로 120∼121℃, 15∼20분간 정도 가열해서 멸균하는 경우가 많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TSA 배지 4개를 준비하고 Latex 장갑을 착용하여 알코올로 소독한다. 그리고 클린 벤치 내부를 알코올로 소독한다. 배양된 Bacil...
참고 자료
권혁면, 김기식, 김정수, 문일, 신인재, 윤석준, & 조흠학. (2024). 산업안전 (초판 4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정진우. (2023). ISO 45001 해설을 중심으로 한 안전보건관리시스템 (2판). 교문사.
안전꼼꼼e KRAS. (2024. 05. 23). 체크리스트법 https://kras.kosha.or.kr/
이병림, 최유정, 유삼열, 최재욱. (2022). 소규모 사업장의 중대재해처벌법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 - 중대산업재해 중심.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18(3), 507-519. https://doi.org/10.15683/kosdi.2022.9.30.507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1). 현장작업자를 위한 보호구의 종류와 사용법 (개정판). 2021-교육혁신실-16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1). 현장작업자를 위한 보호구의 종류와 사용법 교안. 2021-2021-교육혁신실-396
Moon, J.-H. (2020), “A study on certification & adoption of occupational health & safety management system.” Proceedings of the 2020’s Conference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pp. 173-179.
밀폐공간 출입 시에는 반드시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를 착용해야[Website], 2024. 05. 18. URL: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4638
김정목, 남범식, 『 환경미생물학실험 』, 신광문화사, 2001, p.21-22.
미생물 및 면역학 분과회, 『 최신 실험미생물학 』, 도서출판 신일북스, 2001, p.4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755861&cid=50307&categoryId=50307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6138&cid=60261&categoryId=6026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4254&cid=43658&categoryId=43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