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맹금류 종분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조류의 서식지 유형
2.1. 산림
2.2. 해양
2.3. 습지
2.4. 평지 개활지와 농경지
2.5. 특수지역
2.6. 도회지
3. 서식환경에 따른 서식지 조성 방법
3.1. 산림
3.2. 습지
3.3. 도시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구의 증가와 급격한 도시화 및 산업화는 환경오염의 심화와 더불어 내륙 및 연안에 분포하는 자연 생태계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야생동물, 특히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 조류는 지속적으로 서식지를 옮겨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식지 파괴는 생태계 네트워크의 단절과 생물다양성 감소로 이어진다. 따라서 조류의 서식지를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조류의 서식지 유형과 각 유형별 서식환경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서식지 조성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 조류의 서식지 유형
2.1. 산림
한국의 산림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아한대 고산지역에는 침엽수가 자라고 잣까마귀와 맷닭, 갈색 양진이가 관찰된다. 이 지역은 생태관광객이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온대 낙엽활엽수림 지역은 조류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딱따구리류, 올빼미류, 솔새류 등이 서식하며, 일부 절벽지에서는 검독수리와 매가 번식한다. 고도가 낮은 이차림에는 직박구리, 멧비둘기, 박새류 등의 텃새가 관찰된다. 고위평탄면 환경에서는 평지와 개활지를 선호하는 멧새류와 휘파람새가 주로 서식하며, 강한 바람으로 작은키나무와 덤불이 자란다. 상록활엽수림 지역은 나무가 사시사철 잎을 달고 있어 야생동물이 천적을 피하고 먹이자원도 풍부하다. 남서해안 도서지역의 해안 절벽에 이런 상록활엽수림이 분포하며 매, 흰꼬리수리, 참수리, 가마우지류, 괭이갈매기 등이 번식한다. 마지막으로 인공림은 주로 텃새인 박새류와 방울새류가 서식한다.
이처럼 한국의 산림은 지형, 기후, 해발고도 등에 따라 다양한 환경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서식하는 조류의 종류와 개체수도 차이가 난다. 숲은 조류에게 먹이와 은신처를 제공하는 중요한 서식지이므로, 산림의 건강성을 유지하고 다양한 식생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2.2. 해양
해양 유형에는 해안 절벽과 마라도 등과 같은 작은 섬이 있다. 우리나라의 해안 절벽은 인간의 접근이 없어 먹이자원을 구하기 쉬워 해양성 조류와 맹금류가 서식한다. 앞서 산림에서 다룬 상록활엽수립지역에 속하기도 한다.
해안 절벽은 주로 강원도 산악의 해안과 내륙에서 볼 수 있으며 동해안의 반을 차지한다. 울릉도, 남해안 도서 지역의 해안절벽은 인간의 접근이 어렵고 먹이를 구하기 쉬워 해양성 조류와 맹금류의 중요한 서식지 중 하나이다. 이곳에는 매, 흰꼬리수리, 참수리, 가마우지류, 괭이갈매기, 바다직박구리, 칼새 등이 번식한다. 바다직박구리가 대표적인데 바위가 노출된 곳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남해와 서해 앞바다의 도서에서는 바다쇠오리가 번식한다.
한국의 해안 앞바다에는 약 4,400여개의 섬이 있으며 대부분이 남해와 서해안에 있다. 특히 무인도서지역에는 인간의 간섭에서 벗어난 많은 야생동물이 서식한다. 바다제비, 바다쇠오리, 슴새, 섬개개비 등의 해양성 조류와 함께 저어새, 검은머리물떼새, 괭이갈매기 등이 번식한다. 또한 밀집한 상록수림에는 동박새, 섬휘파람새, 섬개개비 등이 번식한다. 한국의 제일 큰 섬인 제주도에는 개개비사촌과 팔색조가 있고, 흑비둘기는 울릉도와 남해의 몇 개 도서에서만 볼 수 있다. 제주도와 울릉도에서는 여러 종의 특산 아종이 있다.
해양지역은 뿔쇠오리, 바다쇠오리, 슴새, 바다제비, 가마우지류가 먹이자원을 이용하는 지역이며 바다표범류인 물범이나 고래류가 서식한다. 검둥오리, 검둥오리사촌, 흰줄박이오리와 바다꿩 등 오리류 중 일부는 해안과 해양지역에서 동시에 관찰되기도 한다.
2.3. 습지
습지는 시대적 요구에...
참고 자료
구본학 (2008) 습지를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 대체서식지 계획 모형 -군포시 당동 신기마을 맹꽁이 서식처를 사례로
국립공원 관리공단 (2006) 조류 조사 연구결과 보고서
국립생물자원관 (2011) 철새 이동경로 및 도래실태 연구
김 신 (2005) 시화 야생조류공원 조성계획.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노백호 외 (2010) 법정보호 야생조류의 서식환경 평가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박미호 등 (2018) 숲과 삶.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송인주 (2015) 조류 도심유입 위한 서식환경 개선 방안. 서울연구원
양덕석 (2016) 서식환경변화가 조류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시화호를 중심으로 –
이우신, 박찬열, 임신재, 허위행 (2001) 금강 하구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및 보호와 관리. 한국생태학회지
이원호 (2011) 낙동강하구 을숙도의 조류 서식지 복원효과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영선 (2008) 습지를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 대체서식지 계획 모형 -군포시 당동 신기마을 맹꽁이 서식처를 사례로
환경부 (2011) 환경영향평가 시 주요 생물종에 대한 대체서식지 조 성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연구.
환경부 (2014) 철새도래지 지정 현황
이은재, 「대전시 산림 패치의 조류 서식지 잠재성 평가」, 대전발전연구원, 2012.
노백호, 「법정보호 야생조류의 서식환경 평가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박치영, 「농어촌 생태계에서 서식지 유형에 따른 조류의 군집구조 비교 분석」, 영남대학교, 2009.
원병오, 「자연생태계의 복원과 관리」, 다른세상, 2007.
박미호 등, 「숲과 삶」,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8.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야생동물 생태관리학, 이우신 박찬열 임신재 허위행 정옥식 최창용 박용수 이은재
녹지생태학, 김종원
습지학, 안경수, 김형수, 김재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