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 내러티브
1.1. 간호 상황
환자 서OO은 평소 골다공증으로 인해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집 안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를 당하였고, 이로 인해 왼쪽 엉덩이와 골반에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119를 통해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대상자는 출혈은 없었으나 고통스러워하며 왼쪽 엉덩이를 손으로 잡고 있었고, 침대의 움직임에도 통증을 호소하였다. 극심한 통증으로 인해 대상자는 자신의 몸에 닿는 처치를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통증으로 인해 대답도 잘하지 않았다. 따라서 환자의 통증 중재와 낙상 위험 관찰, 그리고 불안 중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우선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불안한 감정에 공감을 표현하였다.
1.2. 간호 과정 및 결과 성찰
나는 실습생으로서 중환자 간호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적었지만, 실제 중환자실에서의 경험은 특별했다. 최**님의 간호 과정에 참여하면서 많은 배움을 얻었다. 특히 통증 호소가 심한 환자의 경우, 통증 사정과 중재가 얼마나 중요한지 실감할 수 있었다. 나는 환자의 불안한 감정에 공감하며 신속하게 약물 중재를 제공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VRE 감염 관리를 위해 철저한 격리 및 감염관리 절차를 따르는 간호사 선생님들의 모습을 통해 감염예방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나는 이번 실습에서 환자 안전간호, 특히 낙상 예방과 억제대 관리에 대해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절한 간호 수행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또한 활력징후 모니터링과 산소요법 적용과 같은 기본적인 간호 기술을 습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의식수준 및 근력 사정, 욕창 사정 등의 간호 지식과 기술이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이러한 영역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번 실습을 통해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체감할 수 있었고, 간호사 선생님들의 전문적인 간호 수행을 관찰하며 나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나는 앞으로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부하여 전문적인 중환자 간호 수행능력을 갖추고자 한다.
1.3. 임상 경험 분석
1.3.1. 강점
접촉주의 대상자의 감염관리에 있어서 무균술(손위생, 가운과 장갑 착용, 개인물품사용 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철저하게 수행할 수 있다.
환자 안전간호에서 낙상 예방과 억제대 관리에 대해서 적용 목적을 이해하고, 이를 사정하는 능력과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관련 지식을 가지고 있다.
EKG monitor 및 saturation을 잘 부착할 수 있고, EKG 분석에 근거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임상적 추론을 실행할 수 있다.
1.3.2. 약점
의식수준사정(LOC), 의식단계사정(GCS), 동공반사(Pupil reflex), 근력사정에 대해 평가내릴 수 있는 간호지식과 임상적 능력이 부족하다.
욕창을 사정하는 방법과 욕창단계에 대해 지식이 아직 부족하다. 또한 욕창이 발생했을 시에 간호 지식이 부족하다.
투석환자에게 인조혈관이 필요한 목적과 관리 방법에 대해 세부적인 이해와 적용이 부족하다.
이를 통해 해당 내용들에 대한 학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정확한 사정과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관련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1.4. 학습 목표 설정
골절 검사에 대해 학습하여 골절 환자의 증상을 신체 검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골절로 인한 통증, 기능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