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카카오뱅크 개요
1.1. 카카오뱅크 소개
카카오뱅크는 2017년 7월 27일 출범한 인터넷전문은행이다. 카카오의 금융부문 자회사로서 일반은행의 수신 상품인 정기 예금, 자유적금 외에도 모임통장, 26주 적금 등 다채롭고 생각지도 못한 분야의 새로운 상품을 공급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우리나라 모바일메신져 시장점유율 1위인 카카오톡의 인기와 인터넷뱅크의 장점인 저금리 혜택 등은 카카오뱅크의 성공적인 출발을 가능하게 했으며 최근 생활금융 서비스를 목표로 다양한 주주사와의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1.2. 카카오뱅크의 경쟁우위
카카오뱅크는 기존의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Kbank, 2017년 4월 출범)에 비해 더 많은 초기 고객을 확보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두 은행이 출범했지만 카카오뱅크는 전용 ATM이 없으며 스마트폰 뱅킹 전용으로 운영되었다. 카카오 출신의 정보기술(IT) 인력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결제 시스템을 제공함과 동시에 편리하고 손쉬운 결제로 젊은 사용자층을 확보하였다. 독자적인 기술력에 있어 카카오뱅크는 공인인증서를 사용하지 않고 카카오가 서명하는 사설 인증서를 사용한다. 간편한 패스워드 및 결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여 많은 이용자 수를 확보할수 있었다. 이러한 카카오뱅크의 자체 인증서 기술은 기존 공인인증서의 방식보다 더 해킹이 어렵고 보안성이 높은 방식으로 구성되어 결과적으로 복잡한 결제 절차는 줄이지만 안정성의 우위를 가져왔다. 실제로 사용자가 카카오뱅크를 선택한 가장 큰 이유로 '공인 인증서가 없다'를 꼽았으며 출범 이후 현재까지 단 한 건의 유출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1.3. 카카오뱅크 SWOT 분석
1.3.1. 강점(Strength)
카카오뱅크의 강점(Strength)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대조건 없는 합리적인 예금, 적금 상품을 제공한다. 카카오뱅크는 일반 시중은행의 까다로운 예금 및 적금 가입 요건 없이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작용한다.
둘째, 거래 비용이 매우 낮다. 카카오뱅크는 오프라인 지점을 운영하지 않고 온라인에서만 은행 업무를 처리하기 때문에 운영 비용이 절감된다. 이에 따라 입금, 출금, 이체 등 기본 금융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크게 낮출 수 있었다. 이는 고객들에게 매력적인 혜택으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 단순하고 편리한 UI를 갖추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기존 은행의 복잡한 인터페이스에서 벗어나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은행 업무를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특히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로, 젊은층 및 기술에 익숙한 사용자들의 선호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넷째, 카카오라는 친숙한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이미 국내에서 널리 알려진 카카오라는 브랜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은행 서비스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었으며, 대중들에게 보다 친숙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로 다가갈 수 있었다.
다섯째, 빅데이터 기반의 신용 재평가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기존 금융권의 신용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인의 신용도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다 합리적이고 혁신적인 신용 평가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최소한의 인증 절차로 이용 편의성이 매우 높다. 카카오뱅크는 기존 은행의 복잡하고 까다로웠던 계좌 개설 및 금융 거래 절차를 크게 간소화하였다. 공인인증서 없이도 지문 인식 등의 간단한 방식으로 빠르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고객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처럼 카카오뱅크는 합리적인 금융 상품, 낮은 거래 비용, 편리한 인터페이스,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 혁신적인 신용평가 체계, 그리고 간편한 이용 절차 등 다양한 강점을 바탕으로 고객들의 선호도를 높이고 있다.
1.3.2. 약점(Weakness)
카카오뱅크의 약점(Weakness)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