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정의 및 특징
일차성 무릎관절증은 퇴행성 관절염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무릎관절증이라 하며, 원인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뉜다. 일차성 무릎관절증은 무릎 자체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연골과 뼈에 변화가 생겨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빈도가 높아지며, 55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또한 55세 이전에는 성별 차이가 없으나 그 이후부터 여성의 발생률이 약 2.5배 높아진다. 일차성 무릎관절증은 노화, 과도한 무릎관절 사용, 근육 손실 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1.2.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발병 원인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발병 원인은 다음과 같다.
무릎관절의 퇴행성 변화로 관절을 이루고 있는 연골, 뼈, 관절막에 병적인 변화가 나타나 통증, 기능장애, 변형을 유발한다.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며, 주로 노화가 주요 원인이 된다. 60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며, 55세 이전에는 남녀 발병률이 비슷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여성의 비율이 약 2.5배 높게 나타난다. 유전적 요인, 비만, 심한 운동이나 과도한 무릎관절 사용, 근력 약화 등도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발병 원인이 된다. 또한 관절의 선천성 이상, 관절 감염, 반복적인 관절 외상 등의 이차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다.
1.3. 무릎관절증의 임상 증상
무릎이 아프고 붓는다이다. 관절의 운동 범위가 줄어든다이다. 삐걱거리는 소리가 들릴 수 있다이다. 무릎 통증이 악화되고 다리가 휘거나 절룩거린다이다. 무릎에 걸리는 하중 때문에 연골 조직이 많이 닳아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2. 본론
2.1.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진단 검사
2.1.1. 방사선 검사
단순 X-선 검사(simple X-ray)는 무릎 뼈와 관절 상태를 진단하고, 질병의 경과와 치료에 대한 반응을 알 수 있다. 뼈 동위 원소 검사(Bone scan)는 정맥 내로 주입한 방사성동위원소가 골모 세포의 활동이 증가된 부분에 축적되어 화면에서 검은 점들로 나타나므로 무릎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e: MRI)은 인체에 전자기장을 걸었을 때 수소 원자에서 나오는 신호를 영상화하는 최신 방사선 기법으로, 연부 조직의 이상 유무와 관절 연골 및 반월 연골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절경 검사를 통해 골 병변이 나타나기 전에 연골의 변화와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2.1.2. 혈액 검사
혈액 검사는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진단을 위해 수행된다. 대부분의 혈액 검사 결과는 정상 범위 내에 있지만, 일부 검사 결과에서 특이 소견이 관찰될 수 있다. 백혈구(WBC) 수치가 증가할 수 있는데, 이는 급성 감염이나 염증 반응을 의미한다. 적혈구(RBC) 수치와 헤모글로빈(Hb) 수치가 감소할 수 있는데, 이는 빈혈이 동반되었음을 시사한다. 혈소판(PLT) 수치는 정상 범위 내일 수 있으나, 만성 염증 질환이나 감염이 있는 경우 증가할 수 있다. 적혈구 침강 속도(ESR)와 C-reactive protein(CRP) 수치가 증가할 수 있는데, 이는 전신적인 염증 반응을 나타낸다. 이러한 혈액 검사 결과는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진단과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2.1.3. 관절경 검사
관절경 검사는 관절 내부의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이다. 약간 굵은 천자 침에 전구와 반사경을 장치하여 관절강 내에 꽂아 넣고 전기조명에 의하여 반사경을 통해 관찰한다. 이를 통해 연골의 변화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골 병변이 나타나기 이전에도 연골의 변화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관절경 검사는 초기 관절 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관절경 검사를 통해 관절 내부의 구조적인 문제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2.2.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치료
2.2.1. 보존적 치료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과 기능 저하를 초기에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보존적 치료가 중요하다. 급성기에는 통증이 심한 경우 휴식과 온찜질을 통해 통증을 해소하고,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관절을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와 같은 약물 치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