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난소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난소암 개요
2.1. 정의
2.2. 원인
2.3. 진단
2.4. 증상 및 징후
2.5. 난소암의 병기
3. 간호 및 치료
3.1. 수술 요법
3.2. 항암화학요법
3.3. 방사선 치료
4. 간호 사정
4.1. 일반적 특성
4.2. 월경력
4.3. 산과력
4.4. 건강력
4.5. 가족력
4.6. 신체검진
4.7. 임상검사
5. 간호진단 및 중재
5.1. 말기암과 관련된 만성통증
5.2. 말기암으로 인한 우울감과 무력감
5.3. 기력저하와 관련된 낙상의 위험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난소암은 여성의 생식과 호르몬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난소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난소암은 약 90% 이상이 난소 표면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상피성 난소암이며, 자궁암 다음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이다. 난소암은 발병 평균 연령이 64세이며, 수술 및 보조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5년 생존율이 낮아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이에 난소암의 정의, 원인, 진단, 증상 및 징후, 병기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난소암 개요
2.1. 정의
난소암이란 여성 생식과 호르몬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난소에서 발생하는 암을 가리킨다. 난소암은 암이 발생하는 조직에 따라 크게 상피세포암, 배세포종양, 그리고 성삭 기질 종양으로 구분되며, 난소 표면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상피성 난소암이 전체 난소암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2.2. 원인
독신여성일수록 난소암 발생 위험이 높다이다. 낮은 출산력을 가진 여성일수록 난소암 발생 위험이 높다이다. 배란 및 난소피질의 표면상피가 손상될 경우 난소암이 발생할 수 있다이다. 산업생산물질인 석면과 활석에 과다 노출될 경우 난소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이다. 가족 중에 난소암 환자가 있는 경우 난소암에 걸릴 위험이 높으나, 난소암 환자의 95%는 가족력이 없다이다.
많은 배란 횟수는 난소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나, 수유, 임신 횟수가 많을수록, 경구 피임약을 장기간 복용할수록, 초경이 늦을수록, 폐경이 빠를수록 배란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난소암 억제효과가 있다이다. 이 밖에도 비만, 여러 바이러스 질환의 감염력이 난소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이다.
2.3. 진단
난소암은 정확한 진단을 위해 신체검사와 함께 다양한 검사가 필요하다. 우선 문진을 통해 환자의 증상을 확인하고 내진 등의 진찰을 실시한다. 또한 골반 초음파 검사를 통해 종양의 정확한 모양과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3-4개월 후에도 종양이 없어지지 않고 오히려 커지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 CA-125 등의 종양 표지자 검사나 복강경 검사, 복강 내시경 검사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난소암 여부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골반 초음파 검사는 현재까지 초기 종양 발견에 가장 유용한 검사 방법이다. 특히 초음파 혈류 분석은 악성 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종양 표지자 검사는 혈액 내 특수 물질의 증가를 통해 악성 종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복강경 검사와 복강 내시경 검사는 직접 종양을 관찰하고 필요시 조직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진단 방법을 통해 난소암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2.4. 증상 및 징후
난소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난소암이 진행되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골반통이나 복통은 난소암의 가장 흔한 증상이다. 암이 진행되면서 난소 크기가 커지고 주변 장기를 누르기 때문에 이와 같은 통증이 발생한다.
먹기 곤란하고 쉽게 포만감을 느끼는 증상도 나타난다. 암이 커지면서 주변 위장관 장기를 압박하여 소화기 증상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절박뇨, 빈뇨 등의 비뇨기계 증상도 흔히 발생한다. 암이 방광이나 요관을 압박하면서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그 외에도 피로, 소화불량, 요통, 성교통, 변비, 월경양상 변화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암이 더욱 진행되면 복부 팽만, 오심, 하복부 및 다리의 통증, 갑작스러운 체중변화, 배변이나 배뇨 기능의 변화 등 다양한 증상이 발생한다. 이는 암이 주변 장기를 압박하거나 침범하면서 나타나는 증상들이다.
따라서 난소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지만 암이 진행되면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골반통, 복통, 소화기 증상, 비뇨기 증상 등이 주된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2.5. 난소암의 병기
난소암은 크게 네 단계로 구분된다. 병기 1은 암이 양쪽 난소에서 발견되지만 퍼지지는 않은 상태이다. 병기 2는 암이 하나 혹은 양쪽 난소에서 발견...
참고 자료
유양숙 외 (2022), 제 8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유양숙 외 (2022), 제 8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이은희 외 (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이혜진 외 (2022), 쉽게 배우는 건강사정 이론과 실습. 고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2020), 제 10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I, 수문사
대한종양간호학회 (2022), 종양간호학, 현문사
이숙 외 (2022), 제 4판 정신건강간호학, 신광출판사
약학정보원(www.health.kr)
http://kcrs.co.kr/info/info_020100.html?bmain=view&uid=156
https://gclabs.co.kr
여성건강간호학1 - 현문사 2020, 박영주 외,255~257p
여성건강간호학2 - 현문사 2020, 박영주외
서울대학교병원 편 (1994),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343p
[네이버 지식백과] 조기이상(간호학대사전,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01947&cid=50363&categoryId=50363)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복강경 수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746&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 난소 양성 종양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790&cid=51004&categoryId=51004)
여성건강간호학 I, 박영주 외 공저, 현문사, 2020
여성건강간호학Ⅱ, 박영주 외 공저, 현문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