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미래 일자리의 변화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이 도래하면서 미래 일자리의 변화가 예측된다.
앞으로의 사회에는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의 최신 기술이 주요 트렌드가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인간의 생활 수준은 기술력 발전으로 인해 향상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인공지능으로 인해 여러 일자리들이 대체되고, 새로운 일자리들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초등학생들 중 60% 이상이 미래에는 지금 존재하지 않는 일을 하게 될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은 인간에게 기존보다 더 넓은 범위의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1.2. 바람직한 미래를 위한 노력
미래사회의 변화에 맞춰 보육과정 또한 혁신적으로 발전해야 한다.
첫째, 보육과정 계획 시 아동의 융합적 사고 역량 강화를 고려해야 한다.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닌 다양한 영역 간 통합적 교육을 통해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
둘째, 교사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핵심역량 교육에 힘써야 한다. 이를 통해 아동들이 미래사회에 필요한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셋째, 발달영역과 교과영역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총체적인 역량 발달을 도모해야 한다. 학문 간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놀이중심 교육을 강화하여 아동의 뇌발달을 자극해야 한다. 이는 기존의 학습중심 교육을 벗어나 아동의 자발적 참여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다섯째, 결혼과 가정생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형성하기 위해 가족 주제 교육을 도입해야 한다. 여러 가족 유형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태도를 기를 수 있다.
여섯째, 양성평등 교육을 강화하여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남녀평등한 미래사회를 만들어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직장여성을 위한 맞춤형 보육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미래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보육과정을 혁신적으로 개선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아동들이 시대에 걸맞은 역량을 갖추고 행복한 미래를 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2. 미래사회의 특성
2.1.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은 미래사회의 대표적인 특성이다.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면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의 최신 기술이 트렌드가 되었고, 이에 따라 인간의 생활 수준이 향상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인공지능으로 인해 많은 일자리들이 대체되고 새로운 일자리들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초등학생들 중 60%가 미래에는 지금 존재하지 않는 일을 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렇듯 4차 산업혁명은 인간에게 기존보다 더 넓은 범위의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비하여 교육계에서는 융합적 사고 역량과 합리적 문제해결 역량을 기르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2.2. 뇌과학과 융합교육
뇌과학의 발달은 기존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편견을 바꾸었다. 각 뇌 영역마다 담당하고 있는 인지 능력이 있다는 점, 일정 시기가 지나면 더 이상 뇌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 사용할 수 있는 뇌 용량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이 바로 대표적인 편견이었다. 이것이 옳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인간의 뇌 잠재력을 더 이용하고, 여러 학문과 융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뇌과학의 발달로 인해 기존에 고정관념으로 여겨졌던 것들이 바뀌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문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인간의 뇌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