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과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지역사회 간호사는 다양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통해 주민들의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본 레포트에서는 지역사회 간호사가 수행한 방문간호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사례는 86세의 독거노인 대상자로, 허리디스크, 무릎관절염,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다. 대상자는 4층 높이의 빌라에 거주하고 있어 외출이 어렵고, 독거 생활로 인해 외로움과 무기력함을 호소하고 있다. 지역사회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생활환경을 종합적으로 사정하여 간호진단을 내리고, 이를 토대로 간호목표와 중재방안을 마련하였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질병관리, 건강한 생활습관 증진, 가족력 이해 증진을 위한 다양한 중재 활동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가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지역사회 간호 사례는 노인 대상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 대상자 및 상황 사정
2.1. 대상자 일반적 특성
86세 독거노인 여성이다. 가족형태는 독거이며, 등록판정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이자 기초생활수급자로 기초주거급여를 받고 있다. 과거력으로는 위암, 유방암, 백내장 수술을 받았으며, 현재 허리디스크, 무릎관절염, 이명, 고혈압, 당뇨를 앓고 있다. 가족력으로는 어머니의 당뇨가 있다. 복용 중인 약은 레티움정, 타겐에프연질캡슐, 기넥신에프정, 훼로바-유 등이다.
2.2. 대상자의 건강 및 생활상태
대상자는 허리디스크, 무릎관절염, 고혈압, 당뇨, 이명 등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 과거력으로는 위암과 유방암 수술을 받은 적이 있다. 백내장 수술을 받아 큰 시각적 문제는 없는 상황이다.
대상자는 무릎디스크와 허리디스크로 인해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오래 걸어다니기 어려워하며, 이로 인한 어지럼증과 두통을 겪고 있다. 또한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고 있으며, 당뇨병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면 양상의 경우 잠을 자도 개운하지 않고 밤새 자주 깨는 등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 영양 섭취와 관련하여 규칙적인 식단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당뇨병 식단 관리가 미흡한 상황이다.
개인위생 관리에 있어서도 주거 환경이 다소 정리되지 않은 모습이 관찰되었고, 벽지가 벗겨지고 곰팡이가 생긴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상자는 독거 노인으로 사회적 접촉이 매우 제한적이며, 큰딸과만 주기적으로 연락하고 있다. 보건소와 복지관 직원들이 때때로 방문하여 필요물품을 제공하고 말벗이 되어주지만, 그 외에 교류하는 이웃은 없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외로움을 느끼고 무력감을 호소하고 있다.
2.3. 대상자 가족관계와 지지체계
대상자는 남편과 사별한 86세 독거노인이며, 아들 1명과 딸 2명을 두고 있다. 아들은 호적에 입적되어 있으나 현재 연락이 되지 않는 상태이다. 작은 딸은 치매와 장애로 인해 연락이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