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배경
본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 근로자 120명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발달장애인의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문화를 접해볼 기회가 적으며, 주말이나 퇴근 후 여가 시간을 주로 집에서 보내는 직원이 많다. 발달장애인의 가정환경이 어려워 가족의 도움으로 문화생활을 즐기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생활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여 더 많은 것을 체험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특성상 유대관계를 형성하면 서로를 믿고 따르는 존재가 되어 신뢰가 쌓이게 되므로, 회사 내에서의 유대관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장기근속을 유도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근로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의 간호사 직무 중요도, 직무 자기효능과 간호영역별 업무시간을 비교 분석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에 따른 인력체계를 적절하게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20명을 대상으로 직무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간호사의 직무 중요도, 자기효능, 간호영역별 업무시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의 간호사 직무에 대한 중요성 인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자기효능감이 일반병동에 비해 높았으며, 업무시간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이 일반병동보다 짧았다. 또한 직접간호시간이 간접간호시간보다 두 병동 모두에서 길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적절한 인력배치와 직접간호시간 확보로 환자 안전과 편이를 증진시키고, 간호사의 이직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 중요도, 직무 자기효능과 업무시간을 비교·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와 K도에 소재한 1개 상급종합병원과 2개의 종합병원을 편의 추출하여, 각 기관 별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환자 질병과 질병 중증도 등의 병동특성이 유사한 일반병동을 병원 전문가에게 추천을 받아 각 1개씩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