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의 하나인 사물인터넷 컴퓨터의 입출력과 관련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물인터넷(IoT)과 유비쿼터스 기술
2.1. 사물인터넷의 개념 및 발전
2.2. 사물인터넷의 핵심 사례
2.3. 유비쿼터스 관련 기술
3. 슈퍼컴퓨터의 발전 현황
3.1. 세계 1, 2, 3위 슈퍼컴퓨터
3.2. 슈퍼컴퓨터의 응용 분야
4. 스마트폰의 입출력 기술
4.1. 다양한 센서 기술
4.2. 센서 정보의 활용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물인터넷(IoT)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 저장, 분석하여 이를 다시 활용하는 예측프로세스이다. 이를 통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게 해준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유비쿼터스의 특징인 '5Any'는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어떠한 통신망(Any-network)으로, 어떠한 장치(Any-Device)로든, 원하는 모든 서비스(Any-service)를 가능하게 한다.
스마트폰에는 소리, 빛, 움직임, 자기장, 가속도 등의 다양한 센서가 탑재되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동작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위치 센서는 길찾기 및 장소기반 정보 검색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QR코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정보를 빠르게 연결할 수 있는 매개체이자, 방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경제적 수단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사물인터넷, 유비쿼터스 기술, 슈퍼컴퓨터 발전 현황, 스마트폰 입출력 기술 등 컴퓨터 관련 최신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사물인터넷(IoT)과 유비쿼터스 기술
2.1. 사물인터넷의 개념 및 발전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획득, 저장, 분석하며, 이를 다시 활용하는 예측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사람과 사람, 사물과 사물, 사람과 사물이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은 1999년 MIT의 Auto-id 센터에 있었던 RFID 전문가인 Kevin Ashton이 RFID 및 기타 센서를 이용하여 일상생활 속 사물에 탑재해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사물 간 협력을 통해 센싱, 정보처리, 정보 교환 및 네트워킹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호지능적 관계를 만들어내고 서비스화되는 사물공간의 연결망을 지향한다.
최근 4차 산업혁명 및 디지털 전환의 영향으로 사물인터넷 기술이 무선 통신, 네트워킹 분야를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사물인터넷 솔루션 및 서비스 시장은 연평균 14.9%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 세계 인구는 72억 명이며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 수는 250억 대에 달한다. 사물인터넷은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결합하여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물류의 자동화, 의료의 원격 진료 및 건강 관리, 농업의 스마트팜, 주거공간의 스마트홈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를 통해 운송, 분류, 하역 등 물류 전 과정의 자동화, 개인 건강 정보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예방 관리, 농작물 및 가축 관리의 최적화, 가정 내 기기의 원격 제어와 에너지 효율화 등이 가능해지고 있다.
사물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가 연결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 상호작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미래에는 사물인터넷이 더욱 고도화되어 사회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2.2. 사물인터넷의 핵심 사례
사물인터넷 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먼저 운송 및 물류 분야에서는 물품의 ...
참고 자료
컴퓨터의 이해, 김강현·손진곤·이병래,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https://www.samsungsvc.co.kr/notice/3023446
https://www.innovatrics.com/fingerprint-technology/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2020-sensor.html
https://www.clavax.com/blog/how-mobile-apps-track-and-monitor-your-heart-rate/
https://sequenex.com/using-smartphone-sensors-to-develop-functional-health-apps/
김강현,손진곤,이병래(2022). 컴퓨터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용태,정윤수,박길철(2021). 최신 기술 동향으로 알아보는 ICT와 4차 산업혁명. 한빛아카데미.
김기일(2018). 스마트시트 현황과 미래과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김문구(2016). 인공지능 헬스케어의 산업생태계와 발전방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우영(2019). 플랫폼 비즈니스 관점의 스마트홈 개발 방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진우(2022). 스마트 팩토리 핵심 요소기술의 최신 동향. 경상남도, 경남테크노파크.
소선섭,손경아,은성배(2020). 임베디드 시스템의 분류.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4, No. 6.
임팩트 편집부(2019). 스마트 헬스케어 및 메디칼 디바이스 시장실태와 전망. 임팩트.
강명구(2013). 스마트폰 센서정보와 WiFi 신호세기 기반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명원(2009). 지그비 홈네트워크 무선제어 디바이스 연구. 고려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PE,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에 세계에서 가장 빠른DLC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엘 캐피탄' 구축,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2024년 11월 21일.
HPE, 미국 오크 리지 연구소의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프론티어’로 새로운 시대 개척,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2022년 6월 3일.
한눈에 보는 스마트폰 센서의 종류와 원리, 삼성전자서비스, 2023년 7월 27일.
아르곤 국립 연구소(ANL)의 오로라 엑사급 시스템, 인텔홈페이지.
[강의록]컴퓨터의이해_14강 – 유비쿼터스 관련기술들 pp.32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 일상 속 IoT 활용과 남겨진 과제. 신종훈 사업본부장
CIO – 홈 – 데이터센터 – 1초에 174경 번 연산 수행. ‘엘 캐피탄’ TOP 500 순위 1위 등극. 2024.11.19. 김달훈
Hewlett Packard Enterprise – HPE,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에 세계에서 가장 빠른 DLC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엘 캐피탄’ 구축
[강의록]컴퓨터의이해_4강 – 데이터 입력. pp.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