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셰익스피어 십이야 작품 소개
십이야는 셰익스피어가 4대 비극을 집필하기 직전에 쓴 작품으로, 그의 대표적인 낭만 희극이다. 주인공 남매 바이올라와 세바스찬이 일리리아에 난파한 뒤 겪는 사건을 소재로 하며, 혼란을 야기하는 희극적 상황을 전개한다. 두 쌍의 연인들이 오해와 착각, 그에 따른 폭행과 배신 등의 위기를 겪으며 결국 해피엔딩으로 귀결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작품의 제목인 '십이야'는 내용과 크게 관련이 없으며, 크리스마스 축제 기간의 마지막 날인 1월 6일을 의미한다. 극의 배경이 되는 일리리아는 실제로 발칸 반도 서부 아드리아 해 동쪽에 있었던 고대 국가로, 작품 속에서는 낭만과 꿈이 가득한 유토피아적 공간으로 그려진다. 십이야는 인생 긍정, 인생 예찬의 극치를 표현하고 있으며,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으로 대표되는 작품들을 집필하기 전의 희극 작품이라는 점에서 희극의 마지막 피날레 같은 느낌을 준다.
1.2. 낭만 희극의 특성
낭만 희극은 행복하게 끝나는 가볍고 유머 있는 극으로, 말장난과 언어유희가 주를 이루며 외형적인 웃음 또한 빠짐없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언제나 인간에게 꿈과 사랑을 주고 남녀의 애정을 기틀로 한 희극적인 줄거리가 펼쳐진다. 하지만 그 사이사이에는 남녀의 품격, 자만심, 무지, 현학, 소심, 허풍 등 인간의 각종 어리석음을 풍자하고 있다. 그리고 최후에 이르러서는 결혼으로 즐겁게 끝나는 축제극, 즉 가장 고전적인 희극의 전형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러한 로맨스를 중심주제로 삼아 펼쳐지는 셰익스피어 희극을 '낭만희극'이라 지칭한다. 당시 르네상스 시기 영국에서는 로마의 신희극에서 유래한 풍자희극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지만, 낭만희극은 사랑과 용서를 주된 목표로 삼았기에 내용이 기독교적이었다. 낭만희극의 특징으로는 먼저, 줄거리가 복잡하며 부 플롯이 항상 존재하고 이 플롯의 개연성은 크게 상관없다. 이는 중세설화문학과 이탈리아, 르네상스 문학의 요소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녀에 대한 찬미·숭배가 있으며 대부분 음악과 노래가 들어간다. 또한 광대와 같이 익살·재담으로 풍자를 하는 인물이 등장을 하며, 중심 주제는 남녀 간의 사랑이 된다. 그리고 초반에 비극적인 상황이 나타나지만 마지막엔 모든 것이 화해되고 결혼으로 막이 내리는 해피엔딩을 가진다고 표현될 수 있다.
2. 인물 분석
2.1. 주요 등장인물
오시노 공작은 일리리아의 부유한 영주로, 올리비아라는 여성에게 반해 있다. 그는 올리비아를 사랑하지만 그녀의 청혼을 거절당하고 있다. 비올라는 오시노 공작의 하인으로 일하면서 그에게 자신의 사랑을 숨기고 있다. 올리비아는 친오빠의 사망으로 상실감을 이기지 못하여 혼자 살기로 결심한 부유한 귀족 여성이다. 그녀는 남장한 비올라에게 반하게 되면서 기존의 고집스러운 태도를 바꾸게 된다. 세바스찬은 비올라의 쌍둥이 오빠로, 둘은 함께 바다를 항해하다 난파를 당하여 헤어지게 된다. 세바스찬은 후에 일리리아에 도착하여 올리비아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맬볼리오는 올리비아의 하인장으로, 까다로운 성격을 가지고 있어 다른 하인들의 괴롭힘을 당한다. 그는 올리비아가 자신을 사랑한다고 착각하다가 곤경에 처하게 된다.
이처럼 셰익스피어는 십이야에서 다양한 성격과 지위를 지닌 인물들을 등장시켜 복잡한 애정 관계와 갈등을 그려내고 있다. 오시노, 비올라, 올리비아, 세바스찬 등은 서로를 오해하고 갈등을 겪지만, 마지막에는 화해와 결혼으로 이어지는 해피엔딩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작품 속에 나타난 사랑과 용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