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만 간호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만 간호정책
2. 국내 재난 보건의료정책
2.1. 코로나19 대응 체계
2.2. 지자체 대응조직 및 운영체계
2.3. 국가 대응
3. 국외 재난 보건의료정책
3.1. 미국
3.2. 대만
4. 국내외 재난 보건의료정책 비교
4.1. 유사점
4.2. 차이점
5. 향후 재난 보건의료정책 방향
5.1. 한국
5.2. 미국
5.3. 대만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대만 간호정책
대만은 1985년 의료보건법을 제정하고 20년 장기 프로젝트로서 의료시설 네트워크를 도입하였다. 의료보건지역으로 구분하여 의료시설을 배치하고 지역별로 표준화되고 균등한 의료보건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경비를 실시하였다. 또한 대만은 한국과 함께 SARS 유행 경험으로 인해 강한 권한을 가진 질병관리본부 체계를 갖추고 있다.
2019년 12월 31일 중국이 우한에서 터진 알 수 없는 '신종폐렴'을 WHO에 알린 후에 대만 정부는 즉시 경계를 높이고 국경관리, 지역감염통제, 감시 및 진단, 의료시스템의 대응 및 준비, 개인보호장비(PPE) 비축 및 할당, 건강교육 및 허위정보 대응 등의 6가지 대응전략을 수립하였다.
대만 정부는 1.20일 확진자 발생 직후 일찍부터 전염병 확산 방지와 통제에 집중함으로써 초기 대응에 성공하였다. 2.06 코로나19 확진자수가 10명이 되자 중국인 입국 금지, 외국인 입국 금지, 중국 직항선박 운행 중단 등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강력한 대응과 봉쇄정책을 실시하였다.
또한 방역 전문가가 정책결정 집단 내 핵심적 행위자로서 전염병 확산 초기 정부 대응에 주도적 역할을 하여 초기방역에 성공하였다. 감염병 의심 증상자 및 격리자에 대한 강력한 외출금지령과 함께 휴대전화 위치 추적을 통해 외출 여부를 경찰과 지방 공무원들이 감시하고 이탈 시 벌금을 부과하는 등 강성 통제 정책을 펼쳤다.
2. 국내 재난 보건의료정책
2.1. 코로나19 대응 체계
코로나19 대응 체계는 다음과 같다. 질병관리청 산하 기관으로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설치되어 방역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수행한다.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는 단체장이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하고, 감염병 전담 병원 및 병상을 확보하며 수용범위를 넘어서면 중앙에서 자원을 지원한다.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에 따라 중앙방역대책본부와 지자체의 방역대책반이 가동되며, 발생 규모에 따라 행정안전부장관 또는 국무총리를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설치된다. 중앙과 시도의 업무조정을 위해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차관) 산하에 중앙, 지자체 실무협의체가 구성되어 운영된다. 지자체에는 '시도 즉각대응팀'이 구성되어 확진환자 역학조사, 접촉자 및 환경관리 조치를 시행하며, 질병관리본부 권역별 즉각대응팀이 이를 지원한다. 또한 시도별로 '환자관리반'이 운영되어 중증도 분류와 병상 배정을 담당한다. 종합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협력과 지원이 원활히 수행되고, 공중보건의 활용 및 민간 의료·보건 인력의 지원 등이 이루어져 초기 대응에 성공하였다.
2.2. 지자체 대응조직 및 운영체계
지자체 대응조직 및 운영체계이다. 코로나19 발병 후 질병관리청 산하 기관으로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설치되어 방역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는 단체장이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감염병 전담 병원 및 병상을 확보하고 수용범위를 넘어서면 중앙에서 자원을 지원하고 있다.
시도 즉각대응팀은 지자체에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하...
참고 자료
김춘미, 이홍자, 최정명, 한혜진, 전경숙, 반은옥, 김숙영, 최경원, 진영란, 고 영, 윤주영 외 공저, 2019,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제2판』, 수문사, 948-969
변준범(2020). 감염병 관련 국가재난관리와 국민의 기본권 보장 –코로나바이러스 19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경상북도
오현숙(2020). 재난의료대응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전라북도
류종수(2020).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국가별 대응 및 보건정책 고찰 및 비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한인경(2021).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과 간호역량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충청남도
탁상우, 조성일, 강수진, 하재영, 박혜민.(2020). COVID-19: 대한민국 보건정책과 보건의료체계 관점에서 대응 경험. 연구보고서, 1-130
강인호.(2008). 미국지방정부 재난관리체계와 정책시사점. 한국정책과학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89-96p
[한국 아동 호스피스 현황과 전망], 강경아, 김신정 - Science ON
[소아청소년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공체계 구축연구], 보건복지부(서울대학교병원) - Science ON
[한국 소아 청소년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현재], 김수정 조교수(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 연구소)
연세암병원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상권, 현문사, 박호란 외 공저
곽인신, 「일본의 다문화 공생정책에 관한 사례연구」, 『국제학논총』32, 국제학연구소, 2020.
변수정 외, 「동아시아 국가의 다문화가족 현황 및 정책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장철, 「영국의 브렉시트와 국민보건의료서비스」, 『해외전문기고』, 생명보험협회, 2020.
이현주, 「스웨덴의 사회부조의 현황」, 『기초보장실 출장보고서』, 사회통합위원회,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