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적정규모학교공간활용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청소년수련관의 설립근거와 의의
1.2. 구덕청소년수련관의 개요
2. 구덕청소년수련관의 문제점
2.1. 시설 및 규모의 문제
2.2. 프로그램의 부족
2.3. 인력현황의 문제
3. 지역아동센터의 중장기적 발전방안
3.1. 제도화를 통한 공공성 강화
3.2. 보편화를 통한 접근성 확대
3.3. 네트워크화를 통한 연계 강화
3.4. 아동 중심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4. 결 론
4.1. 종합적 평가 및 시사점
4.2. 정책적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1.1. 청소년수련관의 설립근거와 의의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경제·문화적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저출생의 고착화, 고령사회로의 이행과 같은 인구구조의 변화는 청소년의 삶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청소년들이 미래에 감당해야 할 사회적 책임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더 이상 획일적이고 전통적인 형태의 학교 교육만으로는 모든 청소년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매년 많은 수의 청소년들이 제도권의 학교를 떠나고 있는 모습이 대표적인 증거이다. 청소년들에게는 학교 내에서 제공하는 교육과 함께 학교 밖의 다양한 성장 경험이 필요하다. 청소년수련관은 청소년이 자연환경을 활용한 야외활동 및 지역사회 내의 일상적 생활을 활용해 심신단련 및 여가, 문화 활동을 이루는 공간이다. 세부적으로는 학교시설을 제외하고 생애 학습 차원의 모든 청소년이 이용하는 교육회관, 수련마을, 그리고 심신수련장 등은 물론 민간단체의 스포츠시설이나 연수시설 등을 포함한다. 청소년활동진흥법 제 11조에 따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청소년 수련 시설을 설치 및 운영해야 한다. 개인, 법인, 단체는 특별자치 시장, 특별자치 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 수련시설을 운영할 수 있다. 중앙 정부 단위에서도 청소년 수련시설이 운영이 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청소년활동진흥법에 따라서 시, 군, 구에 청소년수련관 1개 기관 이상을 설치하고 운영하여야 하며 읍, 면, 동 단위에는 청소년 문화의 집을 1개 기관 이상 설치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1.2. 구덕청소년수련관의 개요
구덕청소년수련관은 수영장과 숙박시설을 일부 보유한 복합형 청소년수련관이다. 구덕청소년수련관은 부지 15,390m2, 건물면적 4,505m2, 수용인원 380명의 규모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시설은 생활관 25개, 대강당, 소강당, 문화활동실, 북카페 2개, 잔디광장, 야영장 5개, 모험시설(4코스 짚라인), 야외풀장, 운동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야외풀장을 보유하여 청소년들이 실내수영 뿐 아니라 실외수영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지만, 제빵이나 바리스타와 같은 직업체험 공간, 4차 산업혁명 기반 창작 및 문화 공간이 부족하여 청소년들이 흥미를 가지고 기관을 찾을 수 있는 매력적 요인이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수영장과 숙박시설을 보유한 강북청소년수련관의 경우 수용인원 850명, 부지 6,967m2, 건물면적 6,410m2로 구덕청소년수련관에 비해 전체 부지는 약 2배 규모이지만, 평균 건물면적은 강북청소년센터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했다.
2. 구덕청소년수련관의 문제점
2.1. 시설 및 규모의 문제
시설 및 규모의 문제이다. 구덕청소년수련관은 수영장과 숙박시설을 일부 보유한 복합형 청소년수련관으로써 부지 15,390m2, 건물면적 4,505m2, 수용인원 380명이다. 구덕청소년수련관이 강북청소년수련관에 비해 전체 부지 약 2배 규모로 확인되는데 평균 건물면적은 강북청소년센터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했다. 또한 제빵이나 비리스타와 같은 직업체험 공간, 4차 산업혁명 기반 창작 및 문화 공간이 부족하여 청소년들이 흥미를 가지고 기관을 찾을 수 있는 매력적 요인이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2.2. 프로그램의 부족
구덕청소년수련관은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 32개와 성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8개로 총 40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부산 ...
참고 자료
자치법규정보시스템 http://www.elis.go.kr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홈페이지 http://www.youthnet.or.kr
김진호 외, 『청소년활동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김형주 외, 『청소년활동시설 평가모형 개발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진은설 외, 『청소년활동론』, 학지사, 2019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홈페이지
김현자 저, 아동권리와 복지, 어가, 2020
조미애 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가 심리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대 대학원, 2014
박태정, 박형원, 이희연 저, 지역아동센터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한국아동복지학회, 2010
이혜경 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심리사회적 적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김민정 저, 아동권리와 복지, 동문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