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형 마트의 광고방식 및 소비자의 효율적인 광고방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형 마트의 광고방식
2.1. 전통적인 광고방식
2.1.1. TV 광고
2.1.2. 라디오 광고
2.1.3. 인쇄 광고
2.2. 디지털 광고방식
2.2.1. 소셜 미디어 광고
2.2.2. 검색 엔진 최적화(SEO)
2.2.3. 이메일 마케팅
3. 소비자의 효율적인 광고방식
3.1. 개인 맞춤형 광고
3.2. 인터랙티브 광고
3.3. 위치 기반 광고
3.4. 콘텐츠 마케팅
4. 대형 마트 광고 방식의 사례 연구
4.1. 이마트의 '피크닉 마케팅'
4.2. 월마트의 '데이터 기반 맞춤형 광고'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에서 대형 마트는 우리 삶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다양한 상품과 더불어 서비스를 제공하여 많은 소비자에게 편리함과 더불어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를 통해 상당히 큰 규모의 고객층을 형성했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소비자들을 유지하고 또 다른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광고 활동이 무조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광고'라는 것이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관리하고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도구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대형 마트에서 광고를 한다는 것은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대형 마트의 특성상 제품을 판매하는 소매업으로 분류된다는 것을 생각해 보았을 때 이들이 소비자에게 많은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많은 소비자가 방문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대형 마트의 광고방식
2.1. 전통적인 광고방식
2.1.1. TV 광고
TV 광고는 대형 마트의 전통적인 광고방식 중 하나이다. TV 광고는 시청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경험을 제공하여 강력한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이는 대형 마트의 주요 제품이나 프로모션을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방법이다. 대형 마트들은 주로 주말 특가 행사, 계절별 할인 행사, 연말 대규모 세일과 같은 이벤트를 TV 광고를 통해 홍보한다. 이러한 TV 광고는 짧은 시간 동안 강렬한 시각적, 청각적 자극을 통해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며, 짧고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이번 주말 특가 할인"이라는 문구와 함께 할인율을 제시하거나, 가족 단위의 구매 장면을 통해 편리한 쇼핑 경험을 강조하는 방식이다. 또한 TV 광고는 대형 마트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자들에게 신뢰도를 강화하는 데 유리하다. 다만 TV 광고는 비용이 매우 크고, 광고를 시청한 소비자가 반드시 마트를 방문하거나 구매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특히 젊은 세대의 경우 TV 시청보다 온라인 플랫폼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TV 광고의 영향력은 세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2.1.2. 라디오 광고
라디오 광고는 대형 마트의 전통적인 광고방식 중 하나이다. 라디오 광고는 운전 중이거나 집안일을 할 때 라디오를 듣는 사람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다. 짧고 간결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효과적인 라디오 광고는 대형 마트가 주요 제품이나 프로모션을 대중에게 알리는 주요한 도구가 된다. 라디오 광고는 시각적 요소가 없기 때문에 청각적 호소력을 극대화해야 하며, 이를 통해 대형 마트의 특별 할인 행사나 신제품 출시 등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김광수 권은아, 광고학, 하나래아카데미, 2014
정어지루, 광고학, 형성출판사, 2006
광고의 8원칙, 오두환, 대한출판사, 2020.11
심성욱, 전종우 외 1명. (2021). 광고학개론. 서울경제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