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가족은 인간의 삶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개인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과 발달을 지원하는 가족의 역할은 매우 크며, 따라서 간호학 분야에서도 가족에 대한 관심이 높다. 한 개인의 건강 문제는 가족구조와 기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반대로 가족의 건강성은 개인의 건강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가족을 통해 개인은 필요한 지지와 용기, 안정을 얻을 수 있으며 지속적인 간호와 관리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가족사정과 진단을 통해 가족간호과정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프리드만의 사정도구를 사용한 가족사정
2.1.1. 사회문화적 요인
가족의 구성요인과 가족형태
가족 구성원은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자녀로 구성되어 있다. 아버지와 어머니가 결혼하여 이루어진 핵가족 형태이다. 아버지의 연령은 39세이고, 어머니의 연령은 39세이다. 자녀는 2명으로, 아들 13세와 딸 9세이다. 가족 구성원 모두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다. 교육 수준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대졸이며, 자녀 중 아들은 초등학교 재학 중이고 딸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이다.
가족의 문화적 요인은 종교가 무교이다. 가족의 사회경제적 상태는 중상층이며, 4대 보험에 모두 가입되어 있다. 가족의 여가활동은 2개월에 1~2회 정도 근거리 나들이를 가나,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전혀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2.1.2. 환경요인
가족은 경기 지역의 신축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아파트는 채광과 통풍, 급수, 하수시설 등 전반적인 주거환경이 양호하다. 층간 소음이 가끔 있지만 견딜 만한 수준이다. 아파트 단지 내 이웃들과 인사하며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아파트 단지 내 위생상태도 깨끗하고 안전한 편이다. 또한 우체국, 은행, 대형마트, 병원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도보 거리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좋다. 동사무소, 보건소, 청소년 문화센터나 지역복지센터, 도서관과 같은 행정 및 문화 시설들도 도보로 이용 가능하다. 주거지역 내 다양한 인프라와 편의시설 접근성이 좋아 가족들의 생활에 큰 불편함이 없다.
2.1.3. 구조적 요인
③ 권력구조
가족 구성원 사이의 권력은 가장인 부친을 근원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 내부의 의사결정은 경제적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 모친이 최종적인 권한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의 의견이 필요한 경우 모친의 결정을 통해 일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결정과정은 강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대부분 의견을 나누고 타협을 통해 결정한다.
④ 역할구조
가족 전체의 경제력의 주 수입원은 부친이 담당하고 있으며, 대학 생활과 직장 생활을 하는 자녀가 일정 금액을 가정에 보태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집안 살림 등은 가족 구성원 모두가 일정 부분을 맡아서 수행하고 있지만, 대부분 모친이 수행하고 있다. 부친이 정년 퇴직을 앞두고 있고 자녀가 대학 졸업을 앞두고 있어 향후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