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자궁경부암의 정의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은 그 특성상 침윤전암과 침윤암으로 뚜렷이 구분되며, 발병 과정도 다른 어떤 암보다 잘 파악되고 조기 진단과 치료가 잘 되어있다. 우리나라의 침윤성 자궁경부암은 40대 여성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으며, 50대와 30대 여성에서도 분포가 비슷하다. 최근 조기 발견률의 증가로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증가 추세에 있지만,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의 발생률은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연령대는 감소하고 있다.
1.2. 자궁경부암의 발생 원인
자궁경부암은 여러 가지 유발 요인이 밝혀져 있으며, 그 중 '성 접촉성 감염질환 모델'이 가장 널리 인정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자궁경부암 관련 요인으로는 결혼과 성교, 포경 여부와 음경의 위생 상태, 성매개 질환,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인종, 사회경제적 특성,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 등이다.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은 자궁경부암과 경부의 전암성 병변의 주요 원인이다. HPV 감염이 발생하면 HPV의 DNA가 숙주 세포에 통합되어 악성 형질 전환을 유도한다. HPV DNA는 대부분의 자궁경부 이상증식 여성에게서 발견되며 HPV 감염으로 인한 상피내 이상증식은 90%에 달한다. 고등급 병변의 90% 이상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HPV16, 18, 31, 33, 35, 39, 45, 51, 52, 56, 58, 68이며, 이 중 HPV16이 침윤암 및 CIN2, CIN3에서 가장 흔하다.
성매개 질환 또한 자궁경부암 발생률을 높이는 요인이다. 매독, 임질, 트리코모나스 감염, 폐렴마이코플라스마에 대한 항체가 있거나 하부 생식기에 클라미디아 감염이나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이 있는 여성에서 자궁경부암의 발병률이 높다. 단순포진에 감염된 경우 자궁경부암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지만, 한 가지 원인만으로 발생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기혼여성에서 자궁경부암 발생 빈도가 높고, 특히 다산부에서 많으며 미산부에서의 발병률은 낮다. 성교는 첫 성교 연령이 낮을수록, 성 파트너가 많을수록 발병률이 증가하며, 첫 성교 연령과 무관하게 성 파트너 수가 많을수록 발병률이 증가한다.
낮은 경제적 수준과 교육 수준 또한 자궁경부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여성의 위생 상태, 조기 검진 이행, 건강 행위뿐 아니라 배우자 또는 성 파트너의 특성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포경수술을 하지 않은 남성이나 음경이 청결치 않은 남성과 성교를 하는 것도 자궁경부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포피 밑에 지방샘의 분비물과 박리된 상피세포 등으로 이루어진 치즈 같은 구지(smegma)가 자궁경부암 발생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포경수술이 자궁경부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 않다는 견해도 있다.
1.3. 자궁경부암의 임상증상
자궁경부암의 첫 증상은 보통 가벼운 출혈이다. 월경 사이의 출혈이나 성교 후, 혹은 심한 운동이나 배변 시 힘을 주고 나서 발생하는 접촉출혈이 특징적인 증상이다. 만약 암세포가 자궁경부 내막에 있는 경우에는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출혈이 나중에 나타난다.
출혈 전에는 선암종에서 흔히 나타나는 분홍색 또는 피가 섞인 질 분비물이 나올 수 있다.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출혈과 질 분비물이 더 자주 발생하고 궤양이 더 심해지며 이차감염으로 인해 악취가 발생한다.
암이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통증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자궁경부암의 조기 발견에 가장 큰 장애물이 된다.
암이 더 진행되면 자궁경부의 궤양, 자궁 경부의 원위 증식, 식욕 부진, 설명할 수 없는 체중 감소 및 출혈이 있을 수 있다. 직장 침윤 또는 압박으로 인한 변비, 장간막 긴장, 직장 출혈, 국소 림프절 침범으로 인해 하지 부종과 허리, 사타구니 및 하지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지속적인 요추부 통증, 일측성 림프부종 및 요관 폐쇄는 예후가 매우 나쁘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기 증상이다.
방광이나 직장의 누공은 환자의 고통을 증가시키고 외부 침윤의 증가는 요도 폐쇄와 요독증으로 이어지며, 이는 자궁경부암의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이다.
초기 침윤암에서는 외음부 표면이 세분화되거나 융기되어 있으며, 때로는 미세한 유두 증식으로 덮여 있고 조금만 만져도 출혈이 있다. 그러나 병변이 자궁경부 내부에 있는 경우 자궁경부 내부는 정상으로 보인다. 암이 더 진행되면 자궁경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침범하고 암세포가 자궁경부 표면 위로 증식하여 뚜렷한 유두 경향이 있는 콜리플라워 모양의 바깥쪽으로 향하거나 자궁경부 표면 위로 증식이 거의 없고 자궁경부 조직 내에서 성장하여 단단하고 돌처럼 보이는 안쪽으로 향하는 경결이 생길 수 있다. 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 자궁경부의 파괴 부위가 넓고 괴사가 심해 면밀히 검사해도 출혈이 있으며, 질벽도 침윤으로 딱딱해지고 음순 인대에도 침윤이 심하다. 이 단계에서는 암이 질강으로 퍼져 콜리플라워 모양으로 변하고 증식하여 질강을 가득 채우게 된다. 때로는 암이 요관을 막아 질-요관 누공이나 직장 질 누공과 같은 비뇨생식기 누공을 일으키고 골반 림프절, 대동맥 및 원거리 림프절, 폐, 간, 뼈 및 뇌로 전이되기도 한다.
1.4. 자궁경부암의 진단검사
자궁경부암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 및 신체 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적 쉽게 이루어진다. 의심되는 부위의 생검을 통해 확진할 수 있다. 자궁경부 상피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