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태권도의 공격 및 방어 사용부위에 대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태권도의 공격 및 방어 사용부위
2.1.1. 겨루기
2.1.2. 격파
2.1.3. 막기
2.1.4. 차기
2.1.5. 지르기 및 찌르기
2.1.6. 손날등 및 발날
2.2. 태권도 기술 용어의 정립 필요성
2.2.1. 태권도 용어 표준화 시도
2.2.2. 실제 경기현장에서의 용어 사용 문제
2.3. 태권도 기술 용어 교육 및 활용 방안
2.3.1. 일반 태권도장에서의 기술 용어 교육 강화
2.3.2. 태권도 지도자 대상 기술 용어 교육
2.3.3. 태권도 심사에 기술 용어 시험 포함
2.3.4. 동영상 플랫폼을 활용한 기술 용어 교육
2.3.5. 태권도 사범 대상 정기 연수 제공
2.3.6. 태권도 기술 용어집 적극 활용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태권도는 한국 고유의 전통무예를 기반으로 한 국제공인 스포츠이다. 태권도는 주로 손과 발을 이용하여 신체를 단련하고 심신수련을 통해 인격을 성장시키며,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신체를 방어할 수 있는 호신 무술이다. 태권도의 기본 수련 방법에는 기본동작, 품새, 겨루기, 단련, 호신술 등이 포함되며, 이 중 실전에서 공격과 방어 기술을 전개하는 겨루기가 태권도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겨루기 수련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태권도의 공격 및 방어 사용부위
2.1.1. 겨루기
겨루기는 태권도 실기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겨루기는 둘 이상의 수련자가 상대방과 공격 및 방어 기술을 실제로 적용해보는 활동이다. 이를 통해 수련자는 태권도 기술의 실전 활용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겨루기에는 맞추어겨루기와 자유겨루기가 있다. 맞추어겨루기는 공격과 방어의 순서가 정해져 있는 형태로, 수련자들이 서로의 기술을 연습할 수 있다. 반면 자유겨루기는 제한 없이 자유롭게 상대방을 공격하고 방어하는 형태이다.
겨루기 시 선수들은 도복과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머리, 몸통, 팔다리 등 주요 부위를 보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공격 부위와 기술도 제한되어 있는데, 주로 몸통과 얼굴을 공격할 수 있으며 발기술만 사용해야 한다.
겨루기는 태권도 수련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다. 기본동작, 품새 등을 통해 익힌 기술들을 실제로 상대방과 맞춰보며 연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겨루기를 통해 수련자는 순발력, 반응속도, 균형감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방과의 대결 과정에서 정신적 인내력, 자신감, 협동심 등을 기를 수 있다.
이처럼 겨루기는 태권도 수련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수련자들은 겨루기를 통해 자신의 기술 수준을 점검하고, 실전 능력을 기를 수 있다.
2.1.2. 격파
격파는 태권도의 기본이 되는 구성요소이다. 손발 기술체계를 숙달하고 심사 혹은 시연 때 실제 위력으로서 단단한 물체인 기와, 송판, 벽돌 등을 깨뜨려 보이는 기술을 의미한다. 격파를 할 때에는 주먹, 손날, 등주먹, 손끝이나 손날 등을 사용하고 발 또한 앞축, 뒤축, 그리고 발날의 부위를 사용한다. 이처럼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는 격파는 위력 격파, 고난도 격파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격파 기술은 초급자에게는 가르치지 않으며, 유단자나 고급자가 연습하게 되는데, 이외에도 호신술 등이 있다. 태권도를 수련하는 수련생들은 기술의 정확성, 의지력, 힘의 집중 등을 경험할 수 있도록 격파 기술을 익힌다. 격파 기술 수련을 통해 태권도 기술의 숙달 정도를 스스로 측정할 수 있으며, 태권도 기술의 위력과 정확성을 체득할 수 있다.
2.1.3. 막기
막기는 주로 팔목과 손날 부위로 상대 공격을 격퇴시키기 위한 일종의 방어기술이다. 태권도가 선 방어 후 공격을 기본으로 하는 무술인만큼 숙달된 막기 기술은 태권도의 올바른 공격의 지름길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기본 기술로서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막기에는 아래막기와 몸통막기, 그리고 얼굴 막기 등이 있다. 태권도 기술체계상 품새와 겨루기를 통해 익힌 공격과 방어 기술을 실전에서 실제로 상대방에게 적용하고 서로의 기량을 겨루는 것이 바로 막기이다. 정확한 손동작과 발동작을 통해 상대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습과 반복 훈련이 필요하다. 막기 기술은 태권도 수련자들의 기본 기술 중 하나로, 공격과 방어를 오가며 상대방과 실전적인 대결을 펼치는 겨루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1.4. 차기
차기는 태권도의 기본 공격 기술 중 하나이다. 태권도에서는 발을 이용한 다양한 차기 기술이 가장 특징적이며, 큰 위력과 속도를 발휘할 수 있다. 차기에는 앞차기, 옆차기, 뒤차기 등이 있으며, 각각 발의 다양한 부분을 이용하여 상대의 급소를 공격할 수 있다.
앞차기는 앞으로 차올리는 발차기로 주로 상대의 복부나 가슴을 공격한다. 옆차기는 발을 옆으로 차올리는 기술로 상대의 옆구리나 얼굴을 공격할 수 있다. 뒤차기는 뒤로 차올리는 발차기로 상대의 복부나 가슴을 공격한다. 이 외에도 몸을 돌리며 차는 회전차기, 공중에서 차는 flying 차기 등 다양한 응용 차기 기술이 존재한다.
차기 기술은 태권도의 가장 대표적인 공격 기술로, 세계적인 태권도 선수들이 경기에서 주로 사용하는 핵심 기술이다. 공격력이 강하고 속도가 빨라 상대를 제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의 다양한 부위를 이용할 수 있어 공격 반경이 넓고 다양한 변화 기술을 구사...
참고 자료
강익필 외, KTA 태권도 기본기술 지도법과 활용, 애니빅, 2017.
이혜정, 태권도장 품새지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한국체육대학교, 2016.
조완묵, 태권도장 지도자의 조건과 과제, 한국체육대학교, 2009.
정권혁, 팬데믹 상황 시 태권도장의 위기관리 경영방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박혁, 태권도를 활용한 한국어 동작동사 교육 방안 연구 : 전신반응교수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최첨단 헬스장이란 이런 것!, Men's Health, 2018.12.29.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수련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원, 2010
태권도 심사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귀납적 논의,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서성원, ‘태권도 용어 표준화, 황소걸음 왜?’, TKD BOX , 본문
대한태권도협회(김병준 외 4인, 2013), KTA 인성교육, 애니빅
박정호 외 4인(2019), 태권도 용어 사전, 다락컴퍼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태권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List/Type/%EA%B0%9C%EB%85%90
국기원 – 태권도 용어
https://www.kukkiwon.or.kr/front/pageView.action?cmd=/kor/information/taekwondoSkill
경남태권도협회 – 태권도 수련의 효과
http://gntaekwondo.org/train-effects/
울산광역시태권도협회 – 태권도란 – 태권도실기
http://ulsantkd.org/taekwon/taekwon_22.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