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감염성 심내막염은 심내막에 미생물이 증식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건강한 사람에게도 심내막 손상이 발생하면 감염성 심내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질병은 급성과 아급성 형태로 나타나며, 주요 증상으로 발열, 전신쇠약, 체중감소 등이 있다. 감염성 심내막염은 고령화와 함께 그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환자들의 경우 기저 심장질환 없이도 발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감염성 심내막염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2. 감염성 심내막염의 이해
2.1.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심장은 주먹만한 크기의 근육성 장기이다. 4개의 방과 연결된 혈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쪽의 방 2개를 심방, 아래쪽의 방 2개를 심실이라고 한다. 혈액은 4개의 심장판막과 4개의 방을 통하여 온몸과 폐로 연속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심실과 심방은 동맥피와 정맥피가 섞이지 않도록 좌우가 분리되어 있으며 판막은 피가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심장에는 삼첨판, 폐동맥판, 승모판, 대동맥판이 있으며, 각 판막은 판엽 2~3개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은 온몸과 폐로 혈액을 보내기 위한 펌프 역할을 하며, 각 조직에 산소를 공급한다. 우심방으로 들어간 피는 삼첨판을 지나 우심실로 들어가고, 우심실은 폐동맥판을 통해 폐동맥으로 혈류를 보낸다. 폐에서 산소를 공급받은 피는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가서 승모판을 지나 좌심실로 들어가며, 좌심실은 대동맥판을 통해 대동맥으로 혈류를 보내게 된다. 좌심실의 혈압은 팔에서 측정한 몸의 혈압과 같다.
2.2. 병태생리
감염성 심내막염의 특징적 병소는 심내막으로 둘러싸인 심장판막이다. 가장 많이 침범되는 판막은 승모판이며 다음은 대동맥판, 삼첨판의 순이다. 염증으로 판막엽(valvular leaflet)이 짧아지거나 융합이 일어나서 판막에 변형을 초래하므로 결국 판막협착증이나 판막역류증이 오게 된다. 또 침범된 판막에는 섬유소와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세균의 침전이 생겨서 이곳에 불규칙한 병적결절의 증식을 나타낸다. 이러한 병적증식 상태는 항생제를 사용해도 그 속의 병원균 집락에 약물 도달이 어렵기 때문에 파괴하기가 매우 힘들며 이것은 가장 위험한 색전과 경색의 원인이 된다.
2.3. 위험요인
감염성 심내막염의 고위험 요인은 심장 판막증으로 인하여 인공판막 수술을 받은 과거력이 있는 사람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감염성 심내막염에 걸리기 쉽다.
또한 감염성 심내막염을 앓은 과거력이 있는 사람도 고위험군에 속한다. 이전에 감염성 심내막염을 앓았던 사람은 재발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팔로씨 4증후군(Tetrology of Fallot)과 같은 청색성 심장 기형이 있는 사람도 감염성 심내막염의 고위험군에 해당한다. 이들은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인하여 취약하기 때문이다.
과거에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인하여 우회로(shunt)수술을 받은 사람 역시 감염성 심내막염의 위험이 높다. 수술로 인해 심장 구조가 변형되었기 때문이다.
2.4. 임상증상
감염성 심내막염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감염성 심내막염은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이다. 그러나 고령, 중증 전신 쇠약자, 중증 심부전이나 신부전 환자에게는 발열 없이 나타나기도 한다. 임상 양상은 급성에서 아급성에 이른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미열, 발한, 오한을 겪는다. 기운이 없고, 식욕이 떨어지며, 체중이 감소한다. 이 질병이 수주~수개월에 걸쳐서 서서히 진행하기 때문에 늦게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고열, 오한, 혈압 강하 등의 증상이 매우 심하게 나타난다. 판막이 빠르게 망가지므로 되도록 빨리 치료받아야 한다. 감염성 심내막염은 위에서 말한 증상 외에도 요통, 관절통, 두통이 나타나며, 간혹 사지에 출혈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심내막염이 판막에 침범하면 판막의 폐쇄 부전을 일으켜 호흡곤란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심부전 등으로 악화될 수도 있다. 세균 덩어리(vegetation)가 떨어져 나가는 경우, 말초혈관 전색증, 폐동맥 색전증, 중풍, 심근경색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2.5. 진단검사
혈액 배양 검사는 감염성 심내막염의 95% 이상에서 균이 배양되어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균혈증이 지속되지만 혈중 균의 농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