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연구조사 유형 중 연구 시간의 따른 분류에서 종단적 연구와 하위분류3가지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사례를 기술하시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종단적 연구의 개념과 특징
2.2. 종단적 연구의 하위유형
2.2.1. 경향연구
2.2.2. 동년배집단연구
2.2.3. 패널연구
2.3. 종단적 연구와 횡단적 연구의 차이점
2.3.1. 조사 방법
2.3.2. 목적 및 목표
2.3.3. 특징 및 내용
2.3.4. 표본 규모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조사에서는 다양한 조사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기술적 조사는 탐색적 조사로 획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연구문제의 답을 주고 가설을 검증하는데 활용하기 위해서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또한 표본추출방법에서 표본이 집단을 얼마나 대표하는지에 대한 대표성의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기술적 조사의 대표적인 유형은 종단적 조사와 횡단적 조사라고 할 수 있다. 기술적 조사의 주요 목적은 사회현상, 배경, 문화, 관계 등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는 것이다. 본론에서는 기술적 조사 중에서 시간적 차원으로 분류되는 횡단적 조사와 종단적 조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2. 본론
2.1. 종단적 연구의 개념과 특징
종단적 연구는 여러 시점 동안 반복적으로 조사를 하는 것이다.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적어도 반복적으로 두 번 이상 특정 사회현상을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횡단적 조사보다 복잡하며 상대적으로 시간,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장기간 동안 조사대상자의 상황 변화 또는 특정한 경험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단적 연구는 탐색적 조사 또는 설명적 조사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종단적 연구는 대상 특성에 따라서 경향연구, 동년배집단연구, 패널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경향연구는 일반 모집단 내 변화를 일정 기간 동안 연구하는 것이고, 동년배집단연구는 시간 변화에 따른 특정 하위 모집단 변화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같은 연령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패널연구는 매번 같은 집단을 관찰하는 방법이다. 종단적 연구는 횡단적 연구와 달리 동태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 동태적 변화 연구에 필수적인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2.2. 종단적 연구의 하위유형
2.2.1. 경향연구
경향연구(趨勢硏究)는 추이연구로도 불리며 일반 모집단 내 변화를 일정 기간 동안 연구하는 것이다. 장기간 동안 같은 주제를 반복해서 면접 또는 관찰을 하게 되는데, 조사할 때마다 응답자는 동일하지 않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실시하는 ...
참고 자료
강종수(2013).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양서원.
초의수(2019).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조학래(2020). 사회복지조사의 이해. 신정.
가족실태와 가족체계이론의 괴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청소년 관련 가족 연구를 중심으로-, 조정호, 담론201, 2009
종단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박원우, 장진욱, 이수진, 서울대학교 노사관계연구소, 2010
사회혁신 주체로서 사회복지조직의 가능성 모색: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이상우,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8.
사회복지시설 혁신적 운영모델 개발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017연명치료 중지에 관한 법원판결과 제도화에 관련된 문제들, 김장환,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 허대석, 대한의사협회지, 2008
고령화사회 노인의 사회참여 활성화 방안 – 노인일자리사업과 자원봉사를 중심으로 -, 지은정, 금현섭, 하세윤,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2
교육복지의 의미와 새로운 방향 모색, 김성식, 서울교육,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