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항생제 내성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항생제 내성 실험
1.1. 실험 목적
1.2. 실험 원리 및 관련 이론
1.2.1. 항생제의 정의 및 작용 기전
1.2.2. 항생제 감수성 및 내성 측정 방법
1.3. 실험 재료 및 방법
1.3.1. 실험 준비물
1.3.2. 실험 절차
1.4. 실험 결과
1.4.1. 항생제별 항균 효과 측정
1.4.2. 항생제 내성 균주 확인
1.5. 결과 분석 및 고찰
1.5.1. 항생제 내성 발생 원인 분석
1.5.2. 항생제 작용기전 이해
1.6. 결론 및 제언
1.6.1. 실험 결과 요약
1.6.2. 향후 연구 방향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항생제 내성 실험
1.1. 실험 목적
본 실험은 세균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디스크 확산법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두 종류의 항생제 작용기작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게 된다.
항생제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시키거나 죽이는 역할을 하며, 약물마다 각기 다른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특정 세균에 대한 항생제의 감수성과 내성을 파악하는 것은 적절한 항생제 선택과 투약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디스크 확산법은 이러한 항생제 감수성과 내성을 비교적 쉽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실험에서는 대장균을 사용하여 페니실린과 암피실린의 항균 효과와 작용기전을 확인하고, 항생제 내성 균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항생제 내성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항생제 작용기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실험 원리 및 관련 이론
1.2.1. 항생제의 정의 및 작용 기전
항생제 또는 항생물질(antibiotics)은 미생물이 생산한 물질로,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는 물질이다. 항생제는 주로 세균 감염을 막거나 세균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거나 생장을 방해함으로써 세균을 억제하는데, 대부분의 곰팡이와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다.
항생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세포벽 합성 억제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을 약화시켜 세포가 높은 내부 삼투압에 의해 파괴되도록 한다. 세포막 기능 억제 항생제는 세포막의 선택적 능동수송을 방해하여 세포 내부의 균형을 무너뜨린다. 단백질 합성 억제 항생제는 세균의 리보솜과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방해한다. 핵산 합성 억제 항생제는 DNA나 RNA 합성을 직접적으로 차단하여 증식을 멈추게 한다. 또한 엽산 합성 억제 항생제는 세균이 스스로 합성하는 엽산 대사를 방해한다.
이처럼 항생제는 세균의 필수적인 생리과정을 억제함으로써 세균의 증식을 저해하고 결과적으로 세균을 사멸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각 항생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세균에 대해 상이한 효과를 나타낸다.
1.2.2. 항생제 감수성 및 내성 측정 방법
항생제 감수성 및 내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디스크 확산법이 있다. 디스크 확산법은 한천 배지에 시험 세균을 도말한 후 항생제를 흡수한 디스크를 배지에 올려놓고 배양하여 항생제의 농도 구배에 따른 저해 구역(clear zone)의 직경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세균이 해당 항생제에 대해 감수성인지, 내성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균액의 탁도를 표준 균...
참고 자료
http://www.kddf.org/common/file/?idx=1540&fname=%ED%95%AD%EC%83%9D%EC%A0%9C%5F%EA%B0%9C%EB%B0%9C%5F
%EB%8F%99%ED%96%A5%5F%EC%9E%84%EC%9D%B8%ED%83%9D%5Fver%5F2%2E0%2Epdf
https://www.asm.org/getattachment/2594ce26-bd44-47f6-8287-0657aa9185ad/Kirby-Bauer-Disk-Diffusion-Susceptibility-Test-Protocol-pdf.pdf
http://sdic.sookmyung.ac.kr/drug_monograph/view.asp?id=1393
금종화 외 4명 지음 / 최신 식품미생물학 / 2010 / 효 일 문화사 / 1판 / p.391~396
노완섭 외 11명 지음 / New 식품미생물학 / 2009 / 지구문화사 / 1판 / p.381~392
이갑상 / 응용미생물학 / 2000 / 대학서림 / 1판 / p.203~205
김영민 외 8명 지음 / 미생물학 / 2005 / 라이프 사이언스 / 6판 / p.764~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