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자원조사 개요
대구광역시 중구 지역의 정신건강자원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여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한 통합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원을 파악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대구광역시 중구이며, 조사기간은 2019년 7월 29일부터 8월 2일까지이다. 조사방법은 인터넷 검색과 각종 통계자료 활용이며, 조사장소는 중구정신건강복지센터 회의실에서 수행하였다.
대구광역시 중구는 대구의 중심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이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작은 구이다. 대구광역시 청사가 위치한 곳이고, 대구 최대의 시장인 서문시장이 있는 대신동과 성내동 일대가 중심 상업지구이다. 그 외에는 남산동과 대봉동, 달성동 일대에 전형적인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중구의 인구는 75,841명으로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적은 편이다. 지하철 노선이 잘 갖춰져 있으며, 버스노선도 양호한 편이다. 관공서, 문화시설, 복지시설, 교육기관 등 다양한 지역사회자원이 분포해 있다.
2. 지역사회 특성
2.1. 지리적 특성
대구광역시 중구는 대구의 중앙 저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동편에 흐르는 신천을 경계로 동·수성구와 나뉘며, 명덕로를 경계로 남구, 달성공원 서편 기슭과 비산동 동편을 경계로 서·달서구와 나뉜다. 또한 대구역의 동서로 뻗은 경부선 철길을 따라 북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처럼 중구는 대구광역시의 중심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중구의 면적은 7.06km^2로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작은 편이다. 중구는 주거지역 3.38km^2, 상업지역 3.12km^2, 녹지지역 0.56km^2로 구성되어 있다.
2.2. 도시화 및 인구
대구광역시 중구는 대구광역시 내에서 가장 작은 면적을 가진 구이다. 대구광역시 청사가 소재하고 있으며, 대구광역시 최대 시장인 서문시장이 있는 대신동과 성내동 일대가 중심 상업 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그 외에는 남산동, 대봉동, 달성동 일대에 주거 지역이 분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구의 인구는 75,841명으로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적은 편이다. 또한 주거 지역이 적어 중구 내 세대수도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낮은 38,313세대이다. 한편 중구 내 의료보장별 인구 구성을 보면 장애인이 5.2%, 기초생활수급자가 5.2%, 저소득 한부모가정이 1.2%로 대구광역시 평균에 비해 낮은 편이다. 이러한 특징들을 종합해 볼 때 대구광역시 중구는 대구광역시 내에서도 가장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으로 볼 수 있다.
2.3. 교통
중구는 대구광역시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하철 1호선, 2호선, 3호선의 정차역이 각각 4개소, 3개소, 6개소 위치해 있어 대중교통 접근성이 뛰어나다. 특히 명덕역은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반월당역은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으로 이용자 편의를 높이고 있다. 또한 중구보건소를 지나는 버스 노선(101, 204, 618, 808)이 운행되어 보건소 이용객의 접근성도 높다. 이처럼 중구는 대구광역시 내에서 교통이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