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Qi활동보고서 감염관리 가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주제선정 및 개요
1.1. 주제 선정 이유
1.2. QI 활동의 필요성 및 목적
1.3. 조사 대상 및 용어 정의
2. 문제 발견 및 원인 분석
2.1. 문제점 발견 및 원인분석
2.2. 결과 분석 및 개선과제 규명
3. 개선 전략 및 실천 사항
3.1. 개별보호구
3.2. 병동관리
4. 기대 효과
4.1. 감염성 질환의 전파 예방
4.2. 의료종사자 및 간병인의 감염관리 지식 향상
4.3. 병원 내 감염 감소와 안전한 환경 조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주제선정 및 개요
1.1. 주제 선정 이유
의료기관에는 다양한 감염성 질환자들이 입원하고 있으며, 특히 간호사는 24시간 동안 환자 옆에서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이다. 따라서 간호사의 표준주의 지침 준수는 병원 내 감염전파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환자와 접촉이 많은 간호사가 의료기관 내 감염의 예방 및 통제를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표준주의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병원에서 발생되는 2차 감염을 예방하여 환자의 안전뿐만 아니라 병원에서의 감염률을 줄이고, 병원내원객과 직원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고자 이 주제를 선정하였다.간호사의 표준주의 지침 지식의 정도와 표준주의 지침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중소병원 간호사 대상 연구에서는 두 변인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종합병원 간호사 대상 연구에서는 간호사 개개인의 표준주의 지침 지식 정도가 표준주의 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 실무에서 간호사의 높은 감염관리 지식이 반드시 수행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신종감염병의 유행과 같은 특수 상황에서 감염 교육 기회가 증가하면서 교육을 통해 습득된 높은 수준의 표준주의 지침 지식이 표준주의 지침 수행의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다제내성균 전파의 주요 경로는 접촉이며, 접촉을 통해 다제내성균을 획득하는 경우 환자에게 증상을 동반하는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환자에서 증상 없이 균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 즉 집락상태가 될 수 있다. 환자가 무증상 집락상태에서도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제내성균 무증상 보균자도 다제내성균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다제내성균의 전파는 집락 또는 감염된 환자와의 직접 접촉, 오염된 환경 접촉을 통한 간접 접촉 등 다양한 경로로 이루어지며, 의료종사자의 손을 통한 전파가 대표적이다. 의료종사자의 손은 환자를 치료하는 과정 또는 오염된 환경을 만지는 경우 쉽게 오염되므로, 손위생과 장갑 착용 지침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다제내성균이 다른 환자에게 전파될 수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오염된 의료기관 환경이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다제내성균 감염 환자의 병실이 동일한 균주에 오염되기 쉽고, 의료환경에서 장기간 생존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이 높을수록 의료인의 손이나 장갑의 오염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QI 활동의 구체적인 목적은 감염관리와 예방을 위한 기존 프로세스와 프로토콜을 검토하고 개선하며,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의 직원 안전 향상과 환자 및 보호자(간병인)에게 더 나은 감염관리 예방 환경을 모색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1.2. QI 활동의 필요성 및 목적
의료기관에는 다양한 감염성 질환자들이 입원하고 있으며, 의료종사자 중 특히 간호사는 24시간 동안 환자 옆에서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이다. 간호사의 표준주의 지침 준수는 병원 내 감염전파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환자와 직접 접촉이 많은 간호사는 의료기관 내 감염의 예방 및 통제를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병원에서 발생되는 2차 감염을 예방하여 환자의 안전뿐만 아니라 병원에서의 감염률을 줄이고, 병원내원객과 직원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고자 이러한 QI 활동이 필요하다. 한편 중소병원 간호사 대상의 연구에서는 표준주의 지침 지식의 정도와 표준주의 지침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종합병원 간호사 대상의 연구에서는 간호사 개개인의 표준주의 지침 지식의 ...
참고 자료
김지원, 박효정. (2023). 병원간호사의 표준주의 지침 지식, 간호전문직관, 감염관리 조직문화가 표준주의 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30(2), 225-235.
김지원, 박효정. (2023). 병원간호사의 표준주의 지침 지식, 간호전문직관, 감염관리 조직문화가 표준주의 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30(2), 225-235.
박선희. (2018). 의료기관에서의 다제내성균 관리. 대한의사협회지, 61(1), 26-35.
강자현. "다양한 개인 보호구 사용 방법에 따른 오염 발생 비교를 위한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 대한 내과학회지 93.1 (2018): 41-49.
한순희 ( Sunhee Han ),and 김향하 ( Hyangha Kim ). "종합병원 간호사의 CRE 감염관리 지식, 건 강신념이 감염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2.1 (2021): 2153-2166.
홍나경,and 강경자. "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관련성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8.1 (2020): 187-19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7,03,15. 감염방지 및 환자안전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병문안 개선 방안.
김미나(2017). “의료기관내 감염 예방을 위한 방문객 지침”, 대한보건연구 Vol 43 No.3, pp109~114.
정명숙 외 공저.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 제 4판, 현문사, 2022
자산의료재단 제천서울병원 QPS실 부서 질 향상 활동 책자
자산의료재단 제천서울병원 수술실 QI 활동 책자
이송이. “계획된 행위 이론에 따른 수술실 간호사의 손 위생 이행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학 석사 학위 논문. (2021):48-54.
손위생.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https://www.koshic.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