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도분만중 출산이 늦어질때 내릴수 있는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1.2.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통계자료
2. 본론
2.1. 임신성 당뇨병의 정의 및 위험요인
2.2. 임신성 당뇨병의 합병증
2.3.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검사
2.4. 임신성 당뇨병의 치료
3. 간호과정
3.1. 분만 1기 간호
3.2. 분만 2기 간호
3.3. 분만 3기 간호
3.4. 분만 4기 간호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대상자 선정 이유는 다음과 같다. 최근 결혼연령이 늦어지면서 초산연령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고위험 임신률도 증가하고 있다. 고령 임산부의 경우 태아염색체이상,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병, 조기진통, 태반조기박리 등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 특히나 임신 전부터 비만, 당뇨병, 고혈압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엔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현재 당뇨를 진단받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임신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향후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임신 중에 혈당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임부뿐만 아니라 태아에게도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고위험임신 및 유도분만 시에는 어떠한 간호중재가 필요한지 궁금하여 이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통계자료
통계청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전체 산모 중 고령산모(35세 이상)의 비율이 2019년 33.3%로 2009년 15.4%, 2014년 21.6%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최근 결혼연령이 늦춰지면서 초산연령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바로는, 임신성 당뇨병의 진료인원이 임신성 고혈압의 진료인원에 비해 10배 이상 많아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고령임신은 임신성 당뇨병의 주요 위험요인이므로 조기 관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2. 본론
2.1. 임신성 당뇨병의 정의 및 위험요인
임신성 당뇨병은 원래 당뇨가 없던 사람이 임신 20주 이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인해 모체의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게 되고, 정상적으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되지만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임신성 당뇨병이 발병하게 된다.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요인에는 30세 이상의 고령 임부, 이전에 4,500g 이상의 거대아 출산 경험이 있는 경우, 원인 모를 사산이나 유산, 선천성 기형아 출산 경험이 있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 기왕력이 있는 경우, 비만, 고혈압,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경우 등이 있다. 이처럼 고위험 요인에 해당하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 발병의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2.2. 임신성 당뇨병의 합병증
임신성 당뇨병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첫째, 거대아 출산이 가능하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는 태아의 체중이 증가하여 4.5kg 이상의 거대아를 출산할 위험이 높다. 둘째, 자궁내 태아 사망의 위험이 증가한다. 혈당 조절이 되지 않으면 자궁내 태아 사망의 확률이 높아진다. 셋째,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태아의 폐 성숙이 지연되어 출생 직후 호흡 곤란이 나타날 수 있다. 넷째, 2형 당뇨병이 발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참고 자료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97~103, 181~189, 203~205
임웅재. 고령임신, 임신성당뇨‧고혈압 가능성 높아 세밀한 산전검사를. 서울경제. 2020.05.27. Available fr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Z2WXOMDX4
임신성고혈압‧당뇨, 진료인원 30만명‧진료비 520억. 데일리메디. 2020.10.11. Available from: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61327&thread=22r01
약학정보원 [Internet]. 서울: 저자; 2020 [cited 2020 11 30]. Available from:
http://www.health.kr/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178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Ⅰ. 제 3판. 서울: 현문사; 2018. p.221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206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Ⅰ.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396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204~205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188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Ⅰ.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410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 제3판. 서울: 현문사; 2017. p251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40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미 외 공저, 2019, 고문사
성인간호학 상, 황옥남 외 공저, 2017,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 황옥남 외 공저, 2017, 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Ⅰ, 최연순외 공저, 2020,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Ⅱ, 최연순 외 공저, 2020. 수문사
최신기본간호학Ⅰ, 송경애 외 공저, 2018, 수문사
최신기본간호학Ⅱ 송경애 외 공저, 2018,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