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의료 폐기물 처리 해결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의료폐기물의 정의와 중요성
1.2. 의료폐기물 관리의 필요성
1.3. 연구의 목적
2. 의료폐기물 관리 현황
2.1. 우리나라 의료폐기물 발생 및 관리 실태
2.2. 의료폐기물 관련 법규 및 정책
2.3. 의료폐기물 처리 방법과 관리 체계
3. 간호대학생의 의료폐기물 관리
3.1. 간호대학생의 의료폐기물 관련 지식 수준
3.2. 간호대학생의 의료폐기물 관리 태도
3.3. 지식과 태도의 관계 및 영향 요인
4. 효과적인 의료폐기물 관리를 위한 방안
4.1. 간호대학생 대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4.2. 실습 환경의 폐기물 관리 체계 개선
4.3. 의료기관과의 협력 강화
5. 결론
5.1. 연구 결과 요약
5.2. 간호교육과 실무에의 시사점
5.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과제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의료폐기물의 정의와 중요성
의료폐기물이란 보건, 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 검사 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주사 바늘이나 사용한 일회용 주사기, 수액 세트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의료폐기물의 안전관리가 소홀할 경우 국민의 건강과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과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의료기관 이용이 증가하면서 의료폐기물의 발생량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의료폐기물은 감염성을 내포하고 있어 발생원에서부터 분리수거가 적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건강과 환경에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폐기물의 적절한 배출과 수거, 처리 단계를 거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2. 의료폐기물 관리의 필요성
병원에서 발생하는 의료폐기물은 감염성을 내포하고 있는 물질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건강과 환경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의료폐기물의 총 발생량 중 약 1/4이 혈액, 체액, 분뇨 등 오염된 폐기물로 이루어져 있어 감염의 위험이 높고, 주사바늘이나 유리병 등의 손상성 폐기물도 의료 폐기물 청소원이나 처리업자에게 부상과 감염 위험을 줄 수 있다. 또한 중금속을 함유한 체온계 등의 폐기물은 소각 시 유해 성분이 공중으로 방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항생물질이나 항암제 등은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등 의료폐기물의 부적절한 처리는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폐기물은 발생 단계에서부터 종류별로 정확히 분리되어 안전하게 처리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의료기관 내 감염 전파와 환경오염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하지만 아직 간호대학생들의 의료폐기물 분리 및 처리 방법에 대한 지식 수준이 낮은 편이어서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1.3.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정도를 분석하고, 이들 간의 관계 및 의료폐기물 관리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간호대학생의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지식과 태도와의 관련성 및 영향요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의 개선과 향상을 위한 대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2. 의료폐기물 관리 현황
2.1. 우리나라 의료폐기물 발생 및 관리 실태
의료폐기물이란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 등 적출물, 실험 동물의 사체 등 보건·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 의료기관에서 발생된 의료폐기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2003년 37,327톤, 2008년 90,817톤, 2013년 151,438톤, 2018년 239,272톤으로 매년 의료폐기물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의료기관 이용 증가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의료폐기물의 급격한 증가에 비해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전용 소각로의 확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 의료폐기물 관리 체계에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다. 대부분의 의료폐기물을 전용 소각로에 위탁 소각하는 방식으로 관리되고 있지만, 소각 용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의료폐기물의 발생 및 처리 과정에서 지역적 불균형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 소각로가 집중되어 있어 물류와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성이 존재하며,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하고 안전한 처리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증가하는 의료폐기물의 발생량과 처리 능력 간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 간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2.2. 의료폐기물 관련 법규 및 정책
의료폐기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관련 법규와 정책이 마련되어 있다. 「폐기물관리법」은 의료폐기물의 수집·운반·보관·처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의료법」에서는 의료기관의 의료폐기물 관리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또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은 의료폐기물의 소독·멸균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의료폐기물 관리 기준과 처리 방법을 구체화한 「의료폐기물 관리 규칙」을 제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의료폐기물은 종류별로 구분하여 전용용기에 보관하고, 전문 수집·운반업체와 처리업체를 통해 안전하게 처리해야 한다. 또한 의료기...
참고 자료
김민정, 김영희. 병원 내 감염 관리의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병원감염학회지.
박상철, 이명선. 병원 내 감염 예방을 위한 표준 예방 조치의 실천 현황. 대한감염관리학회지.
김수진, 최병호. 병원 내 감염 발생 원인 및 예방 전략. 한국보건행정학회지.
이준호, 김연수. 병원 내 감염과 관련된 다제내성균의 전파 경로 및 예방 방안. 대한미생물학회지.
박지혜. 병원 내 감염 관리에서 의료기기 소독의 중요성. 한국병원기구학회지.
정혜진, 송태수. 전염성 질환 예방을 위한 병원 내 관리 방안. 대한전염병학회지.
이효진, 김상현. 병원 내 손 위생 준수도와 감염 예방 효과. 한국병원감염학회지.
김경아, 박수정. 의료폐기물 관리의 현황과 법적 요구사항. 한국보건환경학회지.
조수연, 정영훈. 감염 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병원 내 적용 사례. 대한병원경영학회지.
이창희, 최은경. 병원 내 감염 관리 교육의 필요성과 개선 방향. 한국보건교육학회지.
김호진, 박경훈. 감염 예방을 위한 전염병 관리 지침의 중요성. 대한보건학회지.
이나영. 병원 내 감염 관리의 윤리적 측면과 환자 권리 보호. 한국윤리학회지.
장민호. 병원 내 감염 예방을 위한 정책 개발과 병원 내 감염 관리의 효과. 한국보건정책학회지.
김가현. 권용선, 「임상간호사의 감염성 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과의 관련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2020): 385-396
김경수, 「전국 곳곳에 의료폐기물이 방치된 과정과 해결 대책」, 오늘의 문예비평 (2020): 178-191
박경희. (2004). 감염성폐기물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오세은 등, 「세계 각국의 의료폐기물 관리 제도 비교: 한국 의료폐기물 관리체계에 대한 시사점」 한국환경보건학회지 43.6 (2017): 532-544
하재현. 이현주, 「간호대학생의 환경의식과 의료폐기물 관련 지식 및 태도」,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30.2 (2019): 174-182
Yu SJ, Ha WC, Park YM, Ha YO, Bae KH. A study of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medical waste(Busan and Kyongnam Province University Hospitals).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7;11(1):79-89.
장혜정.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염성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서울
양인화. "대학병원 종사자의 감염성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광주
김명자.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인지도 및 실천정도." 국내석사학위논문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전라남도
유수정,하원춘,박영미,하윤옥,배경희. "간호사의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부산, 경남지역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1.1 (2017): 79-89.
환경부(2000~2018) 의료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