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가정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2.1. 가족교육사업
2.2. 가족상담사업
2.3. 가족친화문화조성사업
2.4. 가족돌봄 지원 서비스 사업
2.5. 다양한 가족통합 서비스 사업
3. 예비부부 · 신혼부부 교육 프로그램 평가
3.1. 프로그램 소개
3.2. 프로그램 평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가족서비스 수행기관으로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하고 가족 관계향상, 의사소통방법, 역할지원 등 가족 구성원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부모, 부부, 조부모, 자녀 등 가족을 대상으로 한 생애주기별 다양한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그중 결혼하는 예비부부교육에 대해 소개하고 프로그램의 장·단점 및 보완점을 통해 건강가정지원센터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2.1. 가족교육사업
가족교육사업은 가족 구성원의 잠재적 강점 기능을 발현시키고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가족관계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가족의 건강성 증진과 건강한 사회를 구현하고자 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예비부부/신혼기 부부교육, 남성 대상 교육(아버지교육, 찾아가는 아버지교육), 청소년기 부모교육, 중년기 교육, 노년기 교육 등이 있다. 예비부부/신혼기 부부교육은 결혼을 앞두고 있거나 교제 중인 미혼남녀나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자신과 상대방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결혼 초기 적응을 돕는 예방적 성격의 교육 프로그램이다. 결혼준비, 양성 평등한 부부관계 만들기, 건강한 의사소통, 부부갈등 대처법, 부부간 건강한 성생활, 가정의 재무관리법 등 결혼생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내용을 다룬다. 거주 지역 내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무료로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강의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남성 대상 교육은 아버지 교육과 찾아가는 아버지 교육으로 구분된다. 아버지 교육은 아버지의 역할과 책임, 아버지-자녀 관계 증진 등을 다룬다. 찾아가는 아버지 교육은 직장, 군대, 지역사회 등으로 직접 찾아가 아버지 역할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청소년기 부모교육은 청소년기 자녀의 발달과 특성, 효과적인 양육방법, 부모-자녀 관계 증진 등을 다룬다. 중년기 교육은 중년기 가족 구성원의 특성과 발달과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중년기 가족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한다. 노년기 교육은 노년기 가족 구성원의 특성과 발달과업에 대해 이해하고, 건강하고 성공적인 노년기 생활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처럼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가족교육사업은 생애주기별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가족 구성원의 역량 강화와 가족관계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예비부부 및 신혼기 부부 교육을 통해 건강한 결혼생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는 가족문제의 사전 예방과 더불어 건강한 가족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2. 가족상담사업
가족관계 내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갈등 및 문제 상황을 면접...
참고 자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 사랑하는 법 / 선혜연 저 / 사계절 / 2018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김선주(2013). 신혼기 부부교육 프로그램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정연, 한경혜(2014).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경제적·심리적·관계적 특성이 결혼만족도 및 결혼안 정성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4(4).
여성가족부(2018).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안내.
유옥(2010). 결혼생활 만족도 증진을 위한 신혼기 부부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원숙 외 2명(2016). 건강가정론. 서울: 학지사.
최혜경, 노치영, 박의순(1994). 결혼초기 부부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의 구성. 한국가정관리학회 지,12.
함인희(2010). 가족정책의 바람직한 방향. 한국여성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