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통신 언어의 정의와 특징
통신 언어는 인터넷 사용자들 사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언어 형태이다. 이는 일상적인 대화에서 축약, 음절 형식 유사, 가수/연예인 이름 활용, 동물 울음소리 활용 등의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통신 언어는 사용자들 간의 원활한 소통과 대화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어 빠른 의사전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언어 활용에 있어 개인의 창의성과 유머 감각을 드러낼 수 있으며, 특정 집단의 은어나 문화를 반영하기도 한다. 이처럼 통신 언어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불가결한 소통 수단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1.2. 통신 언어의 사용 현황
오늘날 통신 언어는 다양한 연령층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젊은층을 중심으로 통신 언어 사용이 활발하며, 이들은 일상적인 대화에서 통신 언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실제로 청소년과 대학생 등 10대와 20대가 주로 통신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신 언어 사용은 점차 중장년층에게도 확산되어, 현재는 전 연령층에 걸쳐 통신 언어가 널리 퍼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통신 언어 사용 빈도는 낮아지지만, 나이든 층에서도 필요에 따라 통신 언어를 구사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온라인상에서는 젊은층뿐만 아니라 중장년층도 활발하게 통신 언어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통신 언어는 현대 사회 전반에 걸쳐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연령대와 상관없이 활용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요즘 한창 인터넷상에서 유저들이 빈번하게 사용하는 인터넷 용어인 통신 언어는 화제가 되고 있다. 실제로 다수의 어린이, 청소년들이 학교와 학원에서 친구들과 대화 시 통신 언어를 사용하다 보니 이를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면 대화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통신 언어는 요즘 일상 속에서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높은 지지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신 언어의 특징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한중 인터넷 통신 언어 사용 현황과 인식에 관한 비교연구'를 참고하여 한국 통신 언어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2. 통신 언어의 특징
2.1. 축약
통신 언어에서는 어구나 어절을 일관성 있게 축약하여 두 글자나 세 글자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안습'은 '안구에 습기차다'라는 말을 줄여 표현한 것으로, 격정적으로 감동받아 눈물이 날 정도로 안타깝거나 괴로운 상황을 나타낸다. 또한 '지못미'는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라는 말을 줄여서 표현한 것으로, 위기에 처한 누군가를 지켜주지 못해 안타깝고 미안해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처럼 축약된 통신 언어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친숙하게 여겨지며 적재적소에서 빈번히 활용되고 있다.
2.2. 음절 형식 유사
원래의 말과 비슷한 음절 형식을 보이는 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