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간의 생애 발달의 특징에근거하여 자신의 인생곡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에릭슨 성격발달이론
3. 레빈슨 성격발달이론
4. 로에빙거 성격발달이론
5. 에릭슨, 레빈슨, 로에빙거의 발달이론 비교
6. 성격측정 검사 3가지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성격발달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다양한 심리적, 정신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성격발달이론과 성격측정 검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대표적인 성격발달이론인 에릭슨, 레빈슨, 로에빙거의 이론을 비교·설명하고, 성격측정 검사 3가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간의 성격발달 과정과 다양한 측정도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2. 에릭슨 성격발달이론
에릭슨은 인간을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존재로 보았다. 인간의 자아에 의해 동기화된다고 보았으며, 인간의 행동이 의식수준에서 통제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인간을 올바른 내적 통합성과 판단력, 성취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존재로 보았다. 에릭슨은 인간의 본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환경과 살아오면서 겪는 경험을 통한 성격의 발달이 개인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였다. 에릭슨의 이론에는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인생전체를 8단계의 과정으로 나누어서 매 단계마다 각자의 심리적인 위기가 존재한다고 하였다. 에릭슨의 이론은 일생에 걸친 성장을 논하고 있으며, 인간이 생물학적·환경적 영향에 전적으로 좌우되지는 않는다고 보았다. 또한 개인의 성장에 문화가 기여한다고 설명하였는데, 이는 각 단계마다 문화적 목표와 동경, 사회적 기대와 요건, 문화가 개인에게 제공하는 기회들이 있다는 것이다. 에릭슨은 인간을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존재로 보았으며, 발달단계에 인간의 전 생애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또한 사회, 문화가 성격발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하였는데, 이는 인간행동발달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큰 시사점을 주었다. 그러나 에릭슨은 인간을 지나치게 낙관적인 관점에서 보고 있고, 성장발달의 여러 측면들을 프로이드의 성욕발달단계에 무리하게 연관 짓고 있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이론의 설득력과는 별개로 그의 이론적 가설들을 과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연구가 뒷받침되지 못했다는 한계도 있다. 특히 노년기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성숙을 설명하지 못하고, 단계별 성숙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점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3. 레빈슨 성격발달이론
레빈슨의 생애주기론은 질적인 차원에서 생애 전체에 걸친 발달양상을 밝혀낸 연구이다. 그는 성인기 연구에 전생애적 접근방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각계각층 남성 4...
참고 자료
조복희, 인간발달 (발달 심리적 접근), 교문사, 2004
이춘옥, 고벽진,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2006
강상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 2011
백은령, 손병덕,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08
조복희, 인간발달 (발달 심리적 접근), 교문사, 2004
이춘옥, 고벽진,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2006
강상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 2011
백은령, 손병덕,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08
조복희, 인간발달 (발달 심리적 접근), 교문사, 2004
이춘옥, 고벽진,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2006
강상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 2011
백은령, 손병덕,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