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위장관 장애의 정의와 중요성
위장관 장애의 정의와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위장관 장애는 위, 소장, 대장 등 위장관 계통의 구조와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위장관 장애는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위장관 장애는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중요한 건강 문제이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체액 조절 능력이 미숙하여 위장관 장애가 발생하면 신속한 대처가 요구된다. 또한 만성적인 위장관 질환은 영양실조, 장기적인 합병증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
1.2. 연구의 목적
위장관 장애의 연구 목적
위장관 장애는 위, 식도, 소장, 대장 등 위장관 전반에 걸친 다양한 질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위장관 장애는 주로 구토, 설사, 복통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 등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위장관 장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체계적인 간호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장관 해부학과 생리학, 위장관 장애의 사정과 진단, 위장관 삽관과 영양 관리, 그리고 주요 위장관 질환의 간호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위장관 장애에 대한 간호사의 전문적인 지식과 실무 역량을 강화하는 데 있다.
2. 위장관 해부학 및 생리학
2.1. 구강, 식도, 위장관의 구조와 기능
타액은 하루 1~1.5L를 분비하며, pH 6.0~7.0의 범위를 갖는다. 타액에는 다당류가 이당류보다 많다. 식도의 들문조임근은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되는 것을 막아준다. 위는 복강동맥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으며, 음식물을 저장하고 소화액을 분비하여 음식물을 용해한다. 십이지장은 길이가 25cm이며, 점막에서는 호르몬과 점액을 분비한다. 작은창자의 벽은 점막층, 점막밑층, 근육층, 장막층으로 구분된다. 회맹판은 돌창자로의 역류를 방지한다. 대장은 상행-횡행-하행-구불결장으로 나뉘며, 직장으로 이어진다. 하루 0.5~1.0L 정도의 수분이 흡수되며, 하루 50~200ml의 수분이 대변으로 배설된다.
2.2. 소화 및 배설 과정
소화 및 배설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음식물은 구강에서 저작과 타액의 작용을 거쳐 식도를 통해 위장관으로 이동한다. 위에서는 체액의 분비와 화학적 작용에 의해 음식물이 용해되고, 소장에서는 췌장액, 담즙, 장액 등의 분비와 운동에 의해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가 이루어진다. 소화가 완료된 후 생성된 대변은 대장을 거쳐 직장으로 이동하여 체외로 배출된다.
대장에서는 하루 0.5~1.0L 정도의 수분이 흡수되며, 하루 50~200ml의 수분이 대변으로 배설된다. 이처럼 소화와 배설 과정을 통해 음식물은 영양소로 분해되어 흡수되고, 배설물은 체외로 배출된다.
3. 위장관 장애 사정
3.1. 주관적 자료 수집
대상자는 3일 전부터 계속되는 구토와 복통으로 인해 처지고 고열이 있어 본원에 내원하였다. 대상자는 위장염 및 결장염 진단을 받았다. 대상자의 보호자는 "애가 계속 설사를 해요."라고 호소하였다.
3.2. 객관적 자료 수집
신체사정을 통해 구강과 혀, 복부, 직장 등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강과 혀의 타액분비, 저작능력, 연하능력을 사정하고, 복부는 시진, 청진, 타진, 촉진 순으로 검진하며 복부둘레를 측정한다. 복수 여부와 창자소리도 확인한다. 직장 검진도 실시한다.
혈액학적 검사로는 전혈구검사, 전해질검사, 종양표지자검사, 알부민 및 영양상태 검사를 수행한다. 방사선검사에는 복부 단순촬영, 상부 위장관 조영술, 하부 위장관 조영술, CT, MRI 등이 있다. 내시경검사는 상부 위장관, 직장 S자결장, 대장 등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초음파, 식도 운동기능검사, 대장-항문 기능검사, 생검 등의 검사를 실시한다.
이러한 객관적 자료 수집은 위장관 장애의 원인, 증상, 심각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중재를 계획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3.3. 진단검사
임상검사로는 전혈구검사, 전해질검사, 태아암항원과 CA19-9검사, 혈청 알부민과 카로틴검사, D-xylose 흡수검사, 대변검사, 소변케톤검사를 실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