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태아 자연분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2. 문헌고찰
1.3. 사례 연구 기간 및 방법
2. 본론
2.1. 간호력
2.2. 입원 시 건강사정
2.3. 분만진행과정
2.4. 임상검사
2.5. 투여약물
2.6. 간호과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과 목적
다태아 임신의 증가와 산모 및 태아의 안녕을 위한 효과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최근 불임 치료 목적으로 보조 생식술을 받는 산모가 증가함에 따라 다태아 출생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는 2001년 10,041명에서 2019년 13,941명으로 증가하였고, 전체 출생 중 비율도 2001년 1.79%에서 2019년 4.6%로 크게 늘었다.
다태아 임신은 합병증 발생 위험률이 매우 높으며, 단태아 임신보다 유산 및 기형 발생률이 높다. 특히 고연령 임산부와 보조 생식술을 받는 산모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다태아 출생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다태아 임신에 대한 산모와 태아의 안녕을 위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전인적인 간호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1.2. 문헌고찰
다태아 임신은 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다. 하지만 임산부가 이란성 쌍태아의 가족력을 가진 경우나 고령인 경우 이란성 쌍태아가 발생할 빈도가 높아진다. 또한 난임 여성들에게 배란 촉진제를 치료제로 사용하거나, 수정란을 자궁강 내에 주입함으로 인해 여러 개의 난자가 생성되어 다태임신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일란성 쌍태아는 하나의 수정란이 발달 초기에 두 개의 배아 형태로 분할되어 성숙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전적 형질이 같고 동성이며, 혈액형과 신체적 모양이 거의 비슷하다. 이란성 쌍태아는 2개의 난자에 각각 수정되어 성장 발육한다. 그러므로 이들은 연령적인 차이를 두고 태어난 형제와 다를 것이 없다. 태반과 융모막 및 양막이 각각 2개이다. 그러므로 외모가 서로 다르며, 성은 같으나 다르며, 유전형질도 서로 다르다.
다태 임신 산모에서 임신 중 변화는 단태 임신과 유사하다. 하지만 몸무게 증가하는 정도가 단태 임신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이며, 임신 말기에 더 많이 늘어날 수 있다. 임신 중 혈색소 수치는 다태 임신에 비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이는데, 쌍태 임신은 단태 임신에 비해 혈장의 증가량은 큰 반면 상대적으로 적혈구의 증가는 부족해 혈색소 농도가 감소하고 빈혈이 잘 발생한다.
...
참고 자료
양선희(2022) 외 8인.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양선희(2022) 외 8인.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송연신(2019) 외 3인.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유양숙(2022) 외 9인.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최명애(201) 외 6인. 임상약리학 8판. 현문사
안숙희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Ⅰ(2021). 현문사
안숙희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2021). 현문사
최명애 외. 임상약리학(2021). 현문사
성미혜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9). JMK
양선희 외. 핵심 기본간호수기(제3판)(2020). 현문사
서울아산병원_전자간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71
서울아산병원_다태아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34
서울아산병원_제왕절개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5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유아교육 / 지옥정, 조혜진 저 / 창지사 / 2021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