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전문직의 주요 특성을 설명하고, 현대 의료 환경에서 간호사가 수행하는 역할을  정리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2.1. 전문직의 정의와 특성
																2.2. 간호전문직 표준의 필요성 및 중요성
																2.3. 간호실무의 법적·윤리적 기준의 필요성 및 중요성
																2.4. 간호윤리의 중요성
																2.5. 간호전문직 표준과 법적·윤리적 기준의 상호작용
								
								3.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3.1. 간호전문직 표준
																3.2.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4. 임상현장에서의 간호의 법적, 윤리적 딜레마
																4.1. DNR 윤리적 딜레마
																4.2. 억제대 사용에 대한 윤리적 딜레마
																4.3. 경제적 이유로 치료를 거부한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
																4.4. 항암제 주입 중단 및 간호기록 삭제 요구에 대한 법적 및 윤리적 분석
																4.5. 환자 개인정보 요구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
																4.6. 말기암 진단과 가족의 정보 제공 거부
																4.7. 요양병동에서의 억제대 사용에 대한 윤리적 딜레마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간호전문직은 현대 사회에서 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직업 중 하나이다. 이들은 사회적으로 취약한 이들을 돕고 지원하여 사회의 공정성과 복지를 증진하는데 헌신한다. 이에 따라 간호전문직의 정체성과 전문성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간호전문직이 사회적 문제에 대처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플렉스너(Flexner)의 전문직 속성에 대한 주장은 간호전문직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1915년에 플렉스너는 의학과 간호 등 전통적인 전문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문직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그에 따르면 전문직은 전문지식을 기반으로 하며, 고도의 전문적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며, 사회에 봉사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전문직 속성은 간호전문직의 정체성과 전문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간호전문직은 간호 이론과 실천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윤리적인 책임과 문제 해결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플렉스너의 전문직 속성을 토대로, 오늘날 간호전문직이 가져야 할 속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전문직이 사회적 문제에 대처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2.1. 전문직의 정의와 특성
														
전문직은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갖춘 사람들이 사회적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직업이다. 전문직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특성을 필요로 한다. 첫째, 장기간의 교육과 경험을 통해 축적된 체계적 지식과 이론적 배경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이 지식을 바탕으로 한 권위를 사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신뢰를 쌓아야 한다. 셋째, 독립성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자신이 맡은 역할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져야 한다. 넷째, 직업윤리와 행동 규범을 준수함으로써 윤리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다섯째, 전문성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학습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건을 갖춘 직업만이 진정한 전문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간호직 또한 이 기준을 충족하여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전문직으로 자리 잡고 있다.
							
						
															2.2. 간호전문직 표준의 필요성 및 중요성
														
간호전문직 표준은 간호사들이 현장에서 질 높은 간호를 수행하고 대상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간호사들은 이러한 표준을 통해 직무를 수행하며, 그 과정에서 대상자와의 신뢰를 구축하고 간호의 질을 보장할 수 있다. 간호전문직 표준은 특히 간호사의 업무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여, 간호 관리자가 간호사의 실무를 지원하고 평가하는데 근거가 된다. 이 표준은 간호사들이 일정한 수준의 질과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대상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간호협회(ANA)는 1960년대부터 간호 표준을 체계화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이러한 간호전문직 표준의 존재는 간호사가 자율성과 권위를 바탕으로 실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며, 대상자의 권리 보호와 안전을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 간호전문직 표준은 간호사의 전문적 역량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대상자에게 최상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이 된다.
							
						
															2.3. 간호실무의 법적·윤리적 기준의 필요성 및 중요성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적법하고 윤리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간호실무와 관련된 법적 기준을 충분히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법적 기준은 간호사의 면허를 유지하고 법적 책임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특히, 법적 기준은 간호사의 업무 수행 범위를 명확히 규정하여 대상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법적 분쟁을 예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간호사는 윤리적 갈등 상황이 발생했을 때 법적 기준을 고려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며, 최신 법과 판례를 숙지하여 스스로와 대상자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법은 사회 구성원들이 지켜야 하는 외적 규범으로서 간호 실무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간호사는 단지 법을 준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윤리적 기준 또한 실무에 적용해야 한다. 법은 외부의 강제를 통해 인간의 행위를 규제하는 반면, 윤리는 개인의 내적 자각에 의해 실천된다. 간호실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윤리적 갈등 상황은 대상자의 권리를 존중하고 보호하는 윤리적 기준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법적 기준을 통해 대상자의 안전과 권리를 보장하는 것 외에도, 윤리적 기준을 바탕으로 대상자에게 인간적 존중과 배려를 제공할 수 있는 실천이 필요하다.
간호윤리는 고전적인 의료 윤리뿐만 아니라 현대 생명과학 기술로 인해 대두되는 새로운 윤리적 문제를 포괄한다. 간호사는 실무 수행 중 다양한 윤리적 갈등 상황에 직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철학적, 윤리적 지식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말기 대상자에 대한 연명의료 중단 여부나 인공 영양 공급의 지속 여부와 같은 문제는 대상자의 자율성과 생명에 관련된 윤리적 딜레마를 야기한다. 간호사는 이러한 윤리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생명윤리와 간호전문직 표준에 기반한 윤리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대상자의 존엄성과 권리를 보호할 수 있다.
간호윤리는 간호사의 역할과 직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다루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간호윤리는 간호사가 윤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주요 지침으로, 대상자와 그 가족에게 신뢰를 쌓고 배려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간호를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간호사는 윤리적 지식을 바탕으로 대상자에게 최선의 간호를 제공할 책임을 다해야 하며, 이는 대상자의 건강뿐만 아니라 인권과 존엄성에 대한 책임까지 포함한다.
간호전문직 표준과 법적, 윤리적 기준은 간호사가 실무에서 역할을 수행하고 대상자에게 최상의 간호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간호전문직 표준은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도구로 작용하여, 간호사의 실무 수행과 업무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법적·윤리적 기준은 간호사가 실무에서 직면할 수 있는 갈등 상황에서 법과 윤리에 따른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결국, 간호전문직 표준과 법적·윤리적 기준은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과 윤리적 책임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한다. 이들은 간호사에게 자율적인 실무 수행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며, 신뢰받는 간호전문직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한다. 따라서 앞으로도 변화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간호사의 법적·윤리적 기준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2.4. 간호윤리의 중요성
														
간호사는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존중...
												 
					
						
참고 자료
						권중돈 외. (2024). 사회복지학개론. 학지사.
김연수 외. (2022). 의료사회복지론. 신정출판사.
김명주. (2002).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주. (2014).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 유형.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계선, & 최영실. (2022). 간호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 의사소통능력 및 도덕적 민감성이 간호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3(10), 220-227.
김상희, 서민정, & 김두리. (2023). 간호사의 윤리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종희, & 정미정. (2022). 간호사의 윤리적 갈등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간호윤리교육 현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9), 592-601.
이영진, 유소영, 김미영, 노원정, 유미, & 정유미. (2022). 국내 간호윤리 교육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8(2), 164-177. 
이병숙 외 5명(2020). 간호관리학. 학지사메디컬. 서울특별시
정호기, 양야기. (2018). 병원 간호사의 갈등과 갈등 해소 경험,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7 No.1, 13-24
병원간호사회. https://khna.or.kr/home/about/principles.php 
신미자 외. (2024). 개정판 간호관리학. 수문사
박정욱(2019). 심초음파실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미선(2019). 임상간호사와 윤리적 딜레마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대학원 간호학 석사학위논문.
코람데오닷컴(2024). [크리스천과 생명윤리7]생명윤리의 4원칙.2024.07.15. 
https://www.kscoramdeo.com/news/articleView.html?idxno=26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