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크래머 전문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의 본질과 개념
1.1. 간호의 정의
1.2. 간호의 역사적 발전
1.3. 간호의 철학적 기반
2. 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2.1. 간호제공자로서의 역할
2.2. 행정가로서의 역할
2.3. 교육자로서의 역할
2.4. 연구자로서의 역할
2.5. 창업가로서의 역할
2.6. 군간호 역할
3. 간호와 관련된 주요 개념
3.1. 인간에 대한 이해
3.2. 건강의 개념
3.3. 환경의 이해
3.4. 간호의 개념
4. 간호이론가의 이론 및 요약
4.1.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환경이론
4.2. 버지니아 헨더슨의 간호의 기본원리 이론
5. 전문직의 특성과 접근방법
5.1. 전문직의 특성
5.2. 전문직에 대한 접근방법
6. 전문직의 기준
7. 간호전문직의 사회화 과정
7.1. 코헨의 모델
7.2. 크래머의 모델
7.3. 베너의 모델
8. 간호전문직 발전을 위한 노력
9. 보건의료영역에서 철학적 사유의 필요성과 간호철학
10. 실존철학에 대한 고찰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의 본질과 개념
1.1. 간호의 정의
간호는 모든 개인, 가정,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여 건강의 회복, 질병의 예방,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필요한 지식, 기력, 의지와 자원을 갖추도록 직접 도와주는 활동이다. 간호는 실제적이고 잠재적인 건강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간호는 대상자의 기본요구를 파악하여 그것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 도움을 제공하는 과학이며, 예술이다. 간호지식의 참된 발전은 인간의 반응과 요구에 대한 진정한 이해로 성취할 수 있다. 간호는 회복 과정을 보존해야 하며, 어떤 과정에 있는 모든 질병이나 진행 중에 있는 것은 다 회복과정에 있는 것이다. 간호사는 다른 개인의 건강에 책임을 갖는 사람이다.
1.2. 간호의 역사적 발전
간호의 역사적 발전을 살펴보면, 근대 간호는 19세기 중반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에 의해 시작되었다. 나이팅게일은 크리미아 전쟁 당시 열악한 환경에서 부상병들을 간호하며 체계적인 간호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이를 계기로 간호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나이팅게일은 간호를 '환자가 최대한 빨리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정의하며, 간호의 목적은 환자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녀는 깨끗한 공기, 햇빛, 청결, 영양 등 환경관리가 환자 회복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환경조절이 간호의 핵심요소라고 보았다.
나이팅게일의 간호 이론은 19세기 후반 근대 간호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이후 간호학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그녀의 업적으로 인해 간호는 단순한 보조 활동이 아닌 독립적인 전문 분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20세기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간호학은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1952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건강을 '단순히 질병이 없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라고 정의하면서 간호 실무에도 이러한 관점이 반영되었다. 이에 따라 간호는 질병 치료뿐만 아니라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도 주력하게 되었다.
한편 간호 교육에 있어서도 발전이 있었다. 19세기 후반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 간호사 양성 교육기관인 세인트 토머스 병원 간호학교를 설립하면서 체계적인 간호 교육이 시작되었다. 이후 각국에서 다양한 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간호사 자격증제도가 도입되었다. 현재는 간호대학 및 간호학과에서 간호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이처럼 간호는 역사적으로 질병 치료 분야에서 시작되었으나, 점차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분야로 그 범위를 확대해 왔고, 전문직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해왔다. 또한 간호 교육의 체계화를 통해 간호 인력의 전문성이 향상되어, 오늘날 간호는 보건의료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3. 간호의 철학적 기반
간호의 철학적 기반은 인간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건강의 의미를 질병이 없는 상태뿐만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로 보며, 간호사와 대상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대상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삶의 의미를 찾도록 돕는 것이다. 인간은 부분이 아닌 전체로 통합된 존재이며, 능동적으로 환경과 상호작용한다. 건강은 질병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를 의미한다. 간호는 대상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 전인적이고 개별화된 돌봄이다. 간호사는 대상자를 자율성을 가진 존재로 이해하여 대상자가 스스로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간호의 목적은 대상자의 건강을 유지·증진하고 질병 예방을 돕는 것이다. 간호사는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대상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삶의 의미를 찾도록 돕는다. 이는 간호의 철학적 기반이 된다.
2. 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2.1. 간호제공자로서의 역할
간호제공자로서의 역할은 임상간호사와 전문간호사로 구분된다. 임상간호사는 간호대학 졸업 후 간호사 면허를 취득하고 의료기관에서 급성 또는 만성 질환자의 치료와 회복을 위한 간호를 제공한다. 전문간호사는 특정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간호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대상자에게 높은 수준의 간호를 제공한다. 임상간호사의 주된 역할은 직접 간호업무, 즉 활력징후 측정, 검사, 투약, 식이 등의 제공이다. 또한 환자 간호, 병실순회, 상담, 교육 등의 간접간호 활동도 수행한다. 전문간호사의 역할은 임상관리자, 교육자, 연구자, 상담가, 협력자 등이 있다. 전문간호사는 해당 분야의 깊이 있는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대상자의 요구를 사정하고 진단하며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한다. 또한 간호실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간호사 및 타 보건의료인력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 이처럼 간호제공자로서의 역할은 임상간호사와 전문간호사로 구분되며, 대상자의 필요에 따라 차별화된 간호를 제공한다.
2.2. 행정가로서의 역할
간호사의 역할 중 행정가로서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간호사들의 협력을 이끌어내어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갖추어야 하며, 조직관리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인간관계, 의사결정, 인적자원 관리, 예산 수립 및 운영 등에 대한 역량이 요구된다. 간호사들의 효과적인 협력을 이끌어내고 간호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리더십과 관리 기술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보건직 및 간호직 공무원으로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등 정부 부처에서 보건의료 정책 개발 및 운영 업무를 담당하며, 보건소와 보건지소 등에서 방문건강관리사업, 건강증진사업, 만성퇴행성 환자관리, 예방접종 및 감염병 예방관리, 산전산후건강관리, 영유아 건강관리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정부 기관에서 보건의료 정책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행정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간호조직 행정가로서 수간호사, 일선간호관리자, 간호과장, 간호팀장, 간호부장, 간호본부장, 간호부원장 등으로 명명되며, 간호사들의 협력을 이끌어내어 간호 조직의 목표를 성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리더십과 조직관리 능력, 의사결정 역량, 인적자원관리 기술, 예산 수립 및 운영 능력 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
2.3. 교육자로서의 역할
간호사의 교육자로서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초·중·고등학교 보건교사로서 학교에서 보건교육과 보건행정업무를 수행한다. 보건교...
참고 자료
고명숙 외, ⌜간호학개론(2019)⌟, 수문사.
김효빈, “무력감에 대한 개념 분석”,⌜The research bulletin of chinju Health College Vol.22-2, 1999⌟, 진주보건대학, 1999, P100.
성기월, “보건 간호사와 임상 간호사의 주된 역할,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정도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제 32권 제 2호⌟, 보건연구정보센터(http://www.richis.org), 2002, P226.
김소선, “내외과 임상전문간호사의 역할과 전망”, ⌜대한간호 제 35권 제 4호 (96. 9 ․ 10월호) 통권 187호⌟, 연세대학교, 1996, P7.
김성재, “간호학에서의 정신신체 통합적 접근”, ⌜스트레스硏究 : 第 16 卷 第 3 號 2008⌟,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2008, P288-289.
김분한 외 공역, ⌜간호학개론 2판(2018)⌟, 포널스출판사.
사공봉 외 2인, “작업치료사의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 Therapy, 26(3), 69-78⌟, 강원대학교, 2018, P70.
O. F. 볼노브, ⌜실존철학이란 무엇인가 : 서문문고 007⌟
간호사의 노동현실 , 2021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종합병원 간호사의근무 형태에 따른 건강수준 평가,2018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정은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과 영향요인 , 2014.06 한국간호행정학회
근무형태에 따른 간호사의 피로와 우울 ,2013년 김귀옥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생의 전문직사회화,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종단적 연구 ,2011년 서일대학 간호과 교수1 , 안산대학교 간호과 조교수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0 no.3 , 2004년 간호행정학회지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9479 , 2020년 의협신문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8031919254804332 , 2018년 머니투데이
보건복지부,한국통계연구원
권현경, 2006, 행렬의 응용성에 대한 고찰, 국내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p.4~44
최은정, 2003, 행렬의 역사 발달 과정과 활용사례, 국내석사학위논문 建國大學校, p.2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