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당뇨질병보고서 노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보고서의 주제 선정 동기
1.2. 보고서의 필요성 및 목적
2. 본론
2.1. 논문 내용 요약
2.1.1.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규칙적 운동, 신체적 기능, 건강수준,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1.2. 지역사회 노인의 약물복용실태와 약물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2.1.3.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력,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3. 결론
3.1. 논문을 읽은 후 나의 고찰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보고서의 주제 선정 동기
처음 보고서를 작성하기 전 노인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깊이 생각해보게 되었다. 문득 정읍에 사시는 나의 할아버지가 생각났다. 나의 할아버지는 파킨슨병, 당뇨, 고혈압 등의 질환을 앓고 계신다. 하지만 운동도 잘 하시고 신체활동을 하려고 이것저것 만들곤 하신다. 앓고 있는 질환이 많지만 할아버지는 스스로가 매우 건강하다고 하시며 삶의 만족을 느끼신다. 그래서 앓고 있는 질환이 많다고 무조건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새로운 생각을 가지게 되었고 그 원인이 무엇일지 궁금하여 논문을 찾아보았다. 가끔 할아버지 집에 가면 약 봉투가 어마어마하게 쌓여있고 약을 제때 안 드시는데, 약 먹는 것을 까먹어서 많이 쌓여있다고 하시며 약물을 먹으면 몸이 더 안 좋아지는 느낌이라고 하셨다. 그래서 나는 노인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약물복용과 관련된 셀프케어와 건강이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논문을 읽어보았고 이를 주제로 보고서를 작성하게 되었다.
1.2. 보고서의 필요성 및 목적
노인 인구가 점점 늘어나며 노인건강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어지고 있다. 2025년도에는 초고령 사회에 돌입할 것이라고 예상되어지고 있다. 대부분 노인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이라고 하면 신체적인 문제 해결을 먼저 떠올리지만, 1차 의료가 부족한 대한민국에서는 예방과 self-care가 중요하다. 이 보고서의 목적은 신체활동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와 약물 관리의 self-care로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자기효능감 또한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알기 위한 것이다. 노인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약물복용과 관련된 셀프케어와 건강이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노인의 신체활동, 약물관리 및 건강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논문 내용 요약
2.1.1.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규칙적 운동, 신체적 기능, 건강수준,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규칙적 운동, 신체적 기능, 건강수준,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은퇴 이후의 시간이 늘어나면서 역할 상실, 신체적 기능 저하, 경제적 어려움 등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노인들의 경우 보유하고 있는 질병의 수나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삶의 질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만성질환이 있음에도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는 노인들의 경우 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지되거나 ...
참고 자료
박영임, 이강이, 김동옥, 엄동춘, 김지현, 지역사회 노인의 약물복용실태와 약물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5 No. 3, 170-179p, 2014.09
박영례, 장은희, 김선화, 박소희, 오희숙,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력,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25(1), 30-38p. 2018.04
박정모, 김정숙, 김미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규칙적 운동, 신체적 기능, 건강수준,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0(2), 337-348p, 2016.08
KOSIS 통계청, 현행 서비스 체계 유지 대비 추가 수요 예측치: 노인돌봄종합서비스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78N207
질병관리본부·보건복지부(2016), 2015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
보건의료기본법(법률 제13649호) 제41조(만성질환의 예방 및 관리).
국가법령정보센터, 의료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D%98%EB%A3%8C%EB%B2%95/%EC%A0%9C2%EC%A1%B0
워크넷, https://www.work.go.kr/jobMain.do
이재혁, 2022.06.,“지역사회 돌봄, 보건의료‧사회복지 전문가가 동시에 케어플랜 설계해야”, 메디컬투데이,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85713067099,2023.3.11.
신미자 외, 2022, 간호관리학, 수문사, p.508~515
이미지, 이윤미, 신소영 and 조정현. (2022). 국내 보건의료 전문가의 협력적 실무 경험. 중환자간호학회지, 15(1), 4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