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치질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치질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3. 치질(hemorrhoids)의 병태생리
3.1. 개념과 종류
3.2. 원인
3.3. 증상
3.4. 검사와 진단
4. 치질의 치료
4.1. 내과적 치료
4.2. 외과적 치료
5. 치질 수술 후 간호
6. 간호과정 적용
6.1. 수술 후 급성 통증 관리
6.2. 수술 후 자가 관리 교육
6.3. 입원 환경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안위 관리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치질은 항문 및 직장의 정맥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부풀어 오른 상태이다. 치질의 원인으로는 복압 상승, 변비, 장기간 서 있기, 임신 등이 있으며, 출혈, 통증,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치질은 직장 수지 검사, 직장경 검사 등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는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구분되며, 증상 정도에 따라 선택한다. 내과적 치료로는 식이요법, 약물요법 등이 있고, 외과적 치료로는 고무밴드 결찰술, 레이저 수술, 치핵절제술 등이 있다. 치질 수술 후에는 통증 관리, 자가 관리 교육, 스트레스와 안위 관리 등의 간호가 필요하다.
2. 치질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항문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대장은 식물성 섬유의 소화와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을 만드는 곳이며 길이는 약 1.5m이다. 대장은 맹장, 결장, 직장으로 나뉜다. 맹장은 둥글고 큰 주머니와 비슷한 구조물이며 길이는 5~6cm, 지름은 5~8cm 정도이다. 결장은 위치에 따라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으로 나뉘어져 있다. 직장은 길이가 약 20cm로 천골과 미골 앞으로 하강하여 항문에 이른다.
대장은 점액을 분비하여 대장벽을 보호하고 대변을 응집한다. 대장에서는 확산에 의해 하루 0.5~1.0L 정도의 수분이 흡수되고 50~200ml의 수분이 대변으로 배설된다. 결장의 기능은 수분을 흡수하며 대변을 단단하게 만들어주고 배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대변을 저장한다. 직장은 대변을 잠시 보관하는 역할을 하며 연동운동을 통해 대변을 이동시킨다.
3. 치질(hemorrhoids)의 병태생리
3.1. 개념과 종류
내치핵은 위쪽 치정맥 얼기의 정맥류양 종창으로, 점막에 의해 덮여 있으며 자율신경계에 의해 신경 지배를 받는다. 외치핵은 아래쪽 치정맥 얼기가 확장된 것으로 항문 입구 밖의 피부로 덮인 부위에서 나타난다. 혈관이 확장됨에 따라 이들을 덮고 있던 점막과 피부를 신장시켜서 결국 항문관 아래로 돌출되어 나온다. 치질은 흔한 질병이며 남성과 여성, 어느 연령층에서도 생길 수 있으나 20~50세 사이의 환자에게 발병률이 높다. 치질은 그 정도에 따라 1도에서 4도까지 분류된다. 1도 치질은 항문직장관강 안으로 나와 있지만 항문 밖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고, 2도 치질은 배변 시 또는 힘을 주면 항문 밖으로 돌출되지만 저절로 원위치로 돌아가는 상태이다. 3도 치질은 배변 시 또는 힘을 줄 때 항문 밖으로 돌출되고 손으로 집어넣어야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상태이며, 4도 치질은 비가역적으로 항문 밖으로 돌출되어 염전의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3.2. 원인
치핵의 가장 흔한 원인은 정맥압의 상승이다. 배변 시 긴장, 변비, 오랫동안 앉아 있거나 서 있는 자세, 임신, 비만 등 항문부위의 압력이 증가할 때 발생한다. 전립샘비...
참고 자료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상), p.327~p.421,현문사
송영신 외,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송영신 외, 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원종순·김남초·박수현·송민선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 현문사
윤은자 외 (2020), 성인간호학Ⅰ, p.479~p.483, 수문사
기본간호학
병리학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치핵(hemorrhoids)
네이버 지식백과, 치핵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cdc.go.kr/healthinfo/index.jsp
서울대학교병원 종합질병정보 http://www.snuh.org/health/compreDis/compreDis.do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1. (2019). 파주시: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2. (2019). 파주시: 수문사